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민노총 화물연대가 결국 ‘빈손’으로 파업을 철회했지만 그렇다고 다 끝난 게 아닙니다.<br> <br> 누가 어디까지 피해를 봤고 이걸 어떻게책임질 거냐 하는 문제가 남아있습니다. <br> <br> 산업계는 3조 원 넘는 피해를 봤다고 합니다.<br> <br> 손해배상 그러니까 실제로 민노총에 청구서를 진짜로 내밀 수 있을까요?<br><br>법적 문제와 실익을 판단해 봐야 합니다.<br><br>다만 손해배상을 포함해 책임을 압박하겠다, 정부 의지가 강경합니다. <br> <br> 안보겸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불법 파업과는 타협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고수해온 윤석열 정부. <br> <br>총파업은 끝났지만 화물연대에 그동안 피해에 대한 책임을 묻겠다는 원칙을 재차밝혔습니다. <br> <br>[김은혜 / 대통령 홍보수석(어제)] <br>"지난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는 우리 경제와 민생에 천문학적 피해줬습니다." <br> <br>[원희룡 / 국토교통부 장관(어제)] <br>"이렇게 큰 피해를 입혀 놓고, 이렇게 대한민국의 엄연한 법을 대놓고 무시하고 짓밟고 이제 돌아갔다고 해서 그게 다 원위치다, 아무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." <br> <br>정부가 손해배상이란 압박 카드를 고심 중인 가운데, 피해 기업들의 줄 소송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번 파업으로 인한 생산, 출하, 물류 차질로산업계가 입은 피해 규모는 약 3조 5천억여 원. <br> <br>운송 지연으로 피해를 입은 건설·물류 업계는 화물연대에 손해배상 청구를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><br>당초 이번 파업으로 입주 지연, 공기 연장 등에 따른 하루 피해액을 최대 46억 원으로 추산한 LH는, <br> <br>"피해 상황을 먼저 취합한 후 손해배상 청구를 검토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><br>물류업계 피해 상황을 접수했던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어제 오전까지 접수된 피해 건수는 158건. <br><br>한국무역협회는 "현재 손해배상 청구를 묻고자 하는 기업이 몇 곳 있다"며 "법적 대응을 지원할 지 여부를 검토 중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> <br>정부의 강경 기조와 함께 기업들의 법적 대응까지 검토되면서 화물연대가 손해배상 폭탄을 떠안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안보겸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차태윤<br /><br /><br />안보겸 기자 abg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