박진 "북 도발자제는 한중 이익"…왕이 "한반도 문제 건설적 역할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리나라와 중국 외교장관이 4개월만에 다시 얼굴을 마주했습니다.<br /><br />이번엔 대면이 아닌 화상으로 회담을 진행했는데요.<br /><br />북한 핵 문제를 포함한 한반도 정세와 한중 양국관계 현안이 집중 논의됐습니다.<br /><br />한상용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10월 중국 20차 당대회에서 중앙정치국에 새로 진입한 왕이 외교부장.<br /><br />양제츠 정치국 위원 뒤를 이어 사실상 중국 외교라인의 수장을 예약한 왕이 부장이 박진 외교부 장관과 양자 회담을 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8월 중국 칭다오에서 대면 회담을 한 데 이어 이번엔 화상으로 1시간 15분 동안 얼굴을 맞댔습니다.<br /><br />칭다오 회담 당시 양측은 왕이 부장의 연내 한국 답방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지만, 중국의 코로나 방역 등으로 상황이 여의치 않아 화상으로 선회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논의 테이블에 오른 주요 의제는 한중 양국관계 교류 협력 방안과 북한 문제를 포함한 한반도 정세.<br /><br />특히 박 장관은 최근 북한의 연이은 도발에 우려를 표하면서 "북한이 핵실험을 비롯한 추가 도발을 자제하고 비핵화 대화의 길로 나오도록 하는 것은 한중간 공동이익으로 양국의 긴밀한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왕 부장은 "앞으로 한반도 문제에 건설적 역할을 해 나갈 것"이라고 했다고 외교부는 전했습니다.<br /><br />이와 함께 양국 외교장관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방한 등 양국 정상 간 교류 모멘텀이 계속 이어지도록 긴밀 소통키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또한 한중관계와 한반도 문제, 국제정세를 폭넓게 논의하면서 지난달 주요 20개국 정상회의 당시 개최된 회담이 상호존중과 호혜에 입각한 새로운 한중협력 시대를 여는 중요한 이정표가 됐다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양 정상이 합의한 양국관계 발전방향에 따라 후속조치를 원만하게 이행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키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이를 위해 외교장관 상호 방문을 포함해 양국 외교, 국방당국의 '2+2' 차관급 외교안보대화, 외교차관 전략대화, 인문교류촉진위원회, 1.5트랙 대화와 같은 다양한 수준의 고위급 교류를 속도감 있게 추진키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한상용입니다. (gogo213@yna.co.kr)<br /><br />#한중 #왕이_박진 #외교부 #양국관계 #교류협력 #북한문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