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반갑지 않은 겨울 손님이 8년 만에 찾아왔습니다. <br> <br>황사인데요. <br> <br>전국 대부분 지역에 황사 경보가 내려질 만큼 최악의 황사였습니다. <br> <br>마스크 꼭 쓰셔야 할 것 같습니다. <br> <br>백승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서울 하늘이 누런 장막을 쳐 놓은 듯 뿌옇습니다. <br> <br>남산에서 바라본 도심 건물들이 제대로 보이지 않을 정도입니다. <br> <br>[최영학 / 서울 강동구] <br>"미세먼지가 많고 앞이 보이지가 않잖아요. 다른 때에는 올라오면 아주 훤히 다 보였는데 오늘은 여기 앞이 잘 안 보이잖아요." <br><br>봄의 불청객 황사가 때아닌 12월에 관측된 건 8년 만입니다. <br> <br>서울과 경기, 인천, 강원, 전북 일대에선 황사위기경보 '주의'가 발령됐는데, 올 들어 처음입니다.<br> <br>차들도 흙먼지를 뒤집어썼습니다. <br> <br>주차한 차량 유리를 장갑으로 한번 닦아보면 보시는 것처럼 이렇게 흙먼지가 묻어 나옵니다.<br> <br>정부는 시민들에게 야외활동 자제와 외출 시 보건용 마스크 착용을 당부했습니다. <br> <br>[김용경 / 대전시 중구] <br>"목이 좀 칼칼하고 미세먼지가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. 하늘도 좀 뿌옇고 공기가 아주 탁한 걸 느꼈어요." <br> <br>현재 세계 공기 질을 나타내는 인터넷 사이트. <br> <br>중국 대부분의 지역과 한반도 중부와 경상남도 부근이 붉게 표시돼 공기 질이 나쁜 걸로 표시돼 있습니다. <br> <br>일반적으로 겨울에는 몽골과 중국 북부지역 토양이 얼어 황사가 덜하고, 봄에 땅이 녹으면서 잘게 부서져 황사가 생깁니다.<br> <br>하지만 기후 온난화 여파로 황사는 시도 때도 없이 날아올 환경이 됐습니다. <br> <br>[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] <br>"현재 발원지의 환경을 보면 연평균 온도가 조금씩 상승하는 중에 있고 보통 눈이 좀 덮여야 되는데 눈이 좀 안 덮인 곳도 좀 있긴 하거든요." <br> <br>이번 황사는 강추위를 몰고 올 북서풍의 영향으로 내일 새벽부터 차차 옅어지겠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백승우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박영래 조승현 정승환 홍승택 <br>영상편집 : 이혜리<br /><br /><br />백승우 기자 strip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