긴축 한파 언제까지…"속도 완화해야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금리 인상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이 시장 전반으로 점차 확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세계 금융시장의 중심인 미국에선 모레(15일) 연방준비제도가 금리를 또 올릴 전망인데, 긴축의 고통이 어느 수준으로 언제까지 이어질지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4,000세대 아파트 단지 주변의 이 부동산은 최근 몇 달간 매매 거래가 완전히 끊겼습니다.<br /><br /> "5억원 최대 대출을 받았던 분들이 지금은 똑같은 이율로 2억원 정도밖에 받지 못하기 때문에…개점 휴업이라고 보시면 돼요."<br /><br />거리두기 규제가 풀리면서 상가 공실률은 다소 줄었다지만 좀처럼 살아나지 않는 소비 심리에 이를 체감하기는 힘듭니다.<br /><br /> "장사가 잘될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새로운 (상가) 세입자가 없는 거예요. 현재 지금…"<br /><br />기준금리는 지난해 8월 이후 무려 2.75%p가 뛰어 3.25%까지 치솟았는데, 그만큼 가계와 기업의 이자 부담이 급증하며 긴축의 한파가 거세졌습니다.<br /><br />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지난달 기준금리를 0.25%p 올렸지만 일부 금통위원이 "긴축 속도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"고 언급했을 정도입니다.<br /><br />우리 시간 15일 새벽 미국의 기준금리 격인 연방기금금리가 또 오를 전망이지만 우리도 똑같이 움직이는 게 맞는지 이제는 누구도 자신할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 "통화정책의 무게중심이 우리 경제의 침체 우려 또는 국내 채권 자금 시장의 불안 쪽으로 옮겨 간 것으로 보이고, 그렇다 보니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은 다소 신중한 행보를 보일 것으로…"<br /><br />다만 세계적 고물가에 긴축 기조는 속도의 문제일 뿐 한동안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라, 금융당국이 시장 불안 해소 방안을 더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 (trigger@yna.co.kr)<br /><br />#FOMC #한국은행 #기준금리 #소비심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