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면제 ’탈리도마이드’ 입덧 방지제로 팔려 <br />약물 부작용으로 1만여 명의 기형아 태어나 <br />분자 구조 같지만, 방향 다른 ’카이랄성’ 원인 <br />서울대, 초고민감도 분자 카이랄성 분석법 개발 <br />시료 손상 없이 가시광선에서 카이랄성 구별 가능<br /><br /> <br />원자 구성과 결합이 같아도 좌우 구조가 뒤집히면 전혀 다른 성질을 갖는 것을 '카이랄성'이라고 하는데, 이 카이랄성 때문에 의약품이나 화학 약품의 부작용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특별한 도구 없이도 분자의 카이랄성을 눈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는 분석 시스템을 개발해 국제 학술지 '네이처'에 실렸습니다. <br /> <br />양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역사상 최악의 약물 부작용 사례로 꼽히는 '탈리도마이드 사건' <br /> <br />1957년 독일의 한 제약사가 수면제로 개발한 탈리도마이드는 진정 효과가 있어 임신부에게 '입덧 방지제'로 많이 팔렸습니다. <br /> <br />동물실험에서 부작용이 없는 것을 확인했지만, 이 약으로 인해 전 세계에서 1만여 명의 기형아가 태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약물 분자 구조는 같지만, 방향이 다른 '카이랄성' 때문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오른손과 왼손은 서로 대칭 구조를 가졌지만, 이렇게 서로 완전히 겹쳐지진 않는데요. <br /> <br />이런 구조를 카이랄성, 방향성이 있다고 말합니다. <br /> <br />카이랄성에 따라 약물 효능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, 기존 분석법은 측정 시간이 오래 걸리고 시료가 손상되는 등의 한계가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특별한 도구 없이도 분자의 카이랄성을 눈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는 분석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별다른 차이가 없어 보이는 투명한 액체를 개발한 분석 시스템에 넣자 왼손 분자는 보라색, 오른손 분자는 빨간색으로 나타납니다. <br /> <br />핵심은 카이랄성 구조에 반응하는 금 나노 입자를 일정하게 배열한 것으로, 방향성에 따라 가시광선 중 특정 빛만 나와 눈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령명 /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박사과정(제1저자) : 저희가 만든 금 나노 입자의 정렬 구조를 활용하면 이 분자와 빛 간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어서 이 분자의 왼손성과 오른손성을 더 잘 구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.] <br /> <br />개발한 분석 시스템은 적은 양으로도 카이랄성 분자를 찾을 수 있으며, 시료 손상이 없는 가시광선에서 구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... (중략)<br /><br />YTN 양훼영 (hw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2121501480457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