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MF, 한국 집값 거품 경고…"하락폭 커질 것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전국에서 뚜렷한 집값 하락세가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국제통화기금, IMF도 한국의 부동산 가격을 거품으로 진단하며 급락을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 이전보다 10%P 이상 떨어질 수 있고 금리 인상 여파가 본격적으로 반영되면 낙폭은 더 커질 것으로 봤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제통화기금, IMF가 홈페이지에 공개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주택시장 안정성 보고서입니다.<br /><br />2019년 4분기에서 작년 4분기까지 국가별 실질 주택 가격 변화를 비교했는데 한국의 주택 가격 상승률은 약 18%로, 뉴질랜드, 호주에 이어 3번째로 높았습니다.<br /><br />IMF는 한국의 부동산 시장의 가격 상승은 코로나19 대유행 기간에 급증한 수요와 낮은 금리로 인한 거품으로 봤습니다.<br /><br />소득 대비 주택 가격 추이 등을 감안했을 때 비정상적인 급등이라는 것입니다.<br /><br />가격 상승에 대한 과도한 기대 등으로 집값이 과대 평가됐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이제 금리가 오르고 있고 시장이 가격 조정에 들어간 만큼 하락이 불가피할 것으로 봤습니다.<br /><br />IMF는 연말까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말 가격에서 10% 포인트 이상 하락할 수 있다고 봤는데, 이는 올해 인상된 금리가 반영되기 전 자료를 기준으로 한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올 들어 한국은 기준금리를 1%에서 3.25%까지 올렸고, 이것까지 감안하면 더 하락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.<br /><br />IMF는 금리가 3% 오를 경우 주택 가격이 2% 추가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.<br /><br />또 거품이 빠지는 시기에 기준금리까지 인상되면 과거 주택 가격 붕괴 때처럼 장기간 가격 조정이 이어질 수 있다며 1991년부터 96년까지 이어진 하락기를 언급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이 기간이 한국에서 가장 많이 집값이 하락한 기간이라고 IMF는 명시했는데, 1991년 2분기 고점을 기록한 후 22분기 연속 하락해 34%가량 급락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.<br /><br />#부동산가격 #집값 #IMF #금리인상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