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엔 '韓공동제안' 北인권결의 채택…18년 연속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국이 4년 만에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한 북한인권결의안이 유엔 총회에서 채택됐습니다.<br /><br />18년 연속 채택입니다.<br /><br />한편 우크라이나 크림 지역 인권 결의안에 대해 당초 기권 의사를 밝혔던 우리 정부는 본회의 표결에선 입장을 바꿔 찬성표를 던졌습니다.<br /><br />뉴욕에서 강건택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유엔 총회는 북한인권결의안을 표결 없이, 전원 동의로 통과시켰습니다.<br /><br />표결 없는 만장일치 채택은 이번이 9번째로, 그만큼 국제사회에서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크다는 방증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이로써 북한인권결의안은 지난 2005년 이후 한 해도 빠짐없이 유엔총회 문턱을 넘었습니다.<br /><br />이태원 참사를 두고 남북의 공방이 벌어진, 제3위원회를 통과한 지 한 달 만입니다.<br /><br /> "한국 정부가 (이태원 참사에 대한) 대내외적인 비판을 축소하기 위해 유엔에서 인권 이슈를 최대한 이용하려고 하는 것입니다."<br /><br /> "북한은 전 세계가 조의를 표하는 와중에도 미사일 도발을 했습니다. 인도주의에 반하는 북한의 태도에 한국 정부는 다시 한번 실망감을 느낍니다."<br /><br />유럽연합 회원국이 주도한 올해 결의안에는 한국도 4년 만에 공동 제안국으로 동참했습니다.<br /><br />최고책임자 제재 권고를 비롯한 기존 내용에 더해,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과 탈북 어민 북송 사건을 겨냥한 것으로 보이는 문구가 추가됐습니다.<br /><br />"유족과 관계기관에 관련 정보를 공개할 것을 북한에 촉구한다"는 문장과 "북한으로 송환된 북한 주민들이 부당한 대우의 대상이 돼선 안 된다"는 문구가 적시됐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북한은 이날도 결의안에 언급된 인권침해 행위들이 "북한에는 존재하지 않는다"며 "정략적인 도발 행위"라고 반박했습니다.<br /><br />한편 이날 본회의에서는 우크라이나 크림 지역에 대한 인권결의안도 표결을 거쳐 채택됐는데, 우리 정부는 찬성표를 던졌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유엔 총회 3위원회에 상정됐을 당시 정치, 군사적 내용이 담겼다는 이유로 기권했다 논란이 일자 입장을 바꾼 것입니다.<br /><br />정부가 같은 결의안에 대해 3위원회와 본회의에서 다른 표를 던지는 건 이례적인데, 외교부는 "보편적 가치와 인권을 존중하는 윤석열 정부의 입장을 좀 더 선명히 드러낼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뉴욕에서 연합뉴스 강건택입니다.<br /><br />#북한인권결의안 #북한_인권 #우크라이나전쟁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