어린 물고기까지 싹쓸이하고 유실되면 더욱 치명적이어서 바다의 지뢰라 불리는 불법 어구인 '범장망'이 제주 해역에서 대규모로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해경은 중국 어선들이 불법으로 설치한 것으로 보고 해상 단속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KCTV 제주방송 김용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해경이 차귀도 서쪽 160km 해상에서 불법 조업 중이던 380톤급 중국 어선을 추격합니다. <br /> <br />"사이렌, 경광등 이용하여 정선 명령 실시 중에 있음. 정선 명령 실시 중에 있음." <br /> <br />지난 4월 적발된 어선은 어업협정선을 약 6km 침범해 수산물 3톤을 잡았습니다. <br /> <br />일명 '싹쓸이 어구'라 불리는 범장망을 이용한 불법 조업 현장입니다. <br /> <br />한동안 뜸했던 범장망이 제주 해상에서 역대 최대 규모로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제주해경은 지난 8일 밤 9시 20분쯤 차귀도 남서쪽 150km 해상에서 대형 범장망을 발견했습니다. <br /> <br />부표 위치를 통해 추정되는 범장망 틀만 100개가량으로 파악됩니다. <br /> <br />200톤급 중국 어선 10여 척이 한중잠정조치수역을 넘어 우리 해역에 몰래 설치한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범장망은 길이 250m, 폭 70m가 넘는 초대형 어구입니다. <br /> <br />입구는 넓은 데 반해 그물코 반경은 2cm 정도에 불과해 어린 물고기까지 싹쓸이 포획이 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특히 철거하지 못하고 바다에 유실될 경우에는 생태계에 큰 위험을 줄 수 있어 우리나라는 중국 어선의 범장망 조업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병엽 / 제주대 해양과학대학 교수 : 또 이 어구가 유실됐을 경우에는 폐어구로 전환되면서 유령 어업으로 해상 생물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미치거든요. 자칫하면 개인적으로 표현하면 바다의 지뢰밭이다. 그럼 해양 생물들에게는 굉장히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해경은 범장망 3틀을 철거해 수산물 5톤을 방류했습니다. <br /> <br />해수부가 지난 4월 제주 서쪽 185km 해상에서 범장망 60여 틀을 철거할 당시 시가 350억 원에 달하는 수산자원을 포획한 것으로 파악한 만큼 이와 맞먹는 어족 자원 피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해경은 정확한 설치 규모를 파악하는 한편 해수부와 범장망 철거와 불법 조업 단속에 나설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KCTV뉴스 김용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용원kctv (yerin718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2121809115741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