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지난해 전국 아파트 주민을 불안에 떨게 했던 '월패드 해킹' 사건과 관련해 최근 경찰이 범인을 검거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과거 방송에서 월패드 보안의 취약점을 지적했던 보안전문가입니다. <br> <br> 무려 40만 가구가 해킹을 당했습니다.<br> <br>김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아파트 거실 벽에 달려 있는 월패드. <br> <br>방문자를 확인하거나 현관문을 제어하는 단말기입니다. <br> <br>카메라가 있어 영상 통화도 가능하지만, '월패드 해킹' 사건 이후 아예 가려놓는 가구가 많습니다. <br> <br>[이무형 / 서울 강동구] <br>"어떤 기능이 있는지도 몰랐고, 카메라에 대한 인지는 없다시피해서 뉴스에 나온 것 보고 걱정되는 마음에 황급히 가리게 됐어요." <br> <br>월패드를 해킹해 입주민의 사생활이 담긴 영상과 방문자 사진을 유출한 정황이 포착된 건 지난해 11월쯤. <br> <br>경찰이 수사에 착수한지 13개월 만에 범인을 검거했습니다. <br> <br>피의자는 30대 남성 이모 씨. <br> <br>지난 2019년 한 방송 뉴스에 보안 전문가로 출연해, 해킹을 시연하며 보안 취약점을 설명했던 인물이었습니다. <br> <br>당시 이 씨는 "컴퓨터를 어느 정도 할 수 있는 중학생 수준이면 누구든지 해킹할 수 있다"며 한 가구만 해킹해도 단지 전체의 메인 서버를 해킹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><br>이번 범행은 보안에 취약한 무선 인터넷 공유기 해킹부터 시작됐고, 아파트 단지 메인 서버를 거쳐 각 가구 내 월패드에 대한 침투가 이뤄졌습니다. <br> <br>이런 식으로 2021년 8월부터 11월까지 전국 아파트 638개 단지, 40만 가구가 해킹됐고, 일부 영상은 유출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이 씨는 "보안 취약점이 개선되지 않아, 경각심을 일으키려 범행을 저질렀다"고 진술했습니다. <br><br>경찰은 해킹된 영상과 사진이 판매된 정황은 발견하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 씨가 판매를 시도한 정황이 있는 만큼 추가 수사를 벌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정근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김기열 강승희 <br>영상편집: 최창규<br /><br /><br />김정근 기자 rightroot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