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년간 27만 마리…멧돼지 총기 포획 효과 있을까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가축 감염병인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지도 어느덧 3년이 지났습니다.<br /><br />그동안 바이러스의 매개체로 지목된 야생멧돼지 포획이 계속돼 왔는데 아직까지 큰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상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2019년 10월 정부는 처음으로 야생 멧돼지에 대한 총기 포획을 허용했습니다.<br /><br />강원도를 중심으로 광역수렵장까지 운영했고 최대 100만 원의 포상금을 내걸었습니다.<br /><br />그렇게 3년간 전국에서 포획한 멧돼지는 26만9천 마리.<br /><br />당시 전국의 야생 멧돼지 수가 최대 50만 마리로 추산됐던 만큼 수치로 따지면 절반 이상 잡아들인 겁니다.<br /><br />환경부 자료를 보면 ㎢당 5.6마리였던 멧돼지 서식 밀도는 지난해 3.7마리까지 줄었습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에도 감염병은 경기와 강원을 넘어 충북과 경북까지 퍼져나갔습니다.<br /><br />총기 포획이 확산을 늦췄다거나 얌전히 있는 멧돼지의 이동을 부추겼다는 등 여전히 의견이 분분한 상황.<br /><br />실제로 야생 멧돼지가 농가로 들어가 바이러스를 퍼트린 사례는 단 한 건도 없었습니다.<br /><br />따라서 일부 전문가들은 이제라도 조용한 포획으로 방법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합니다.<br /><br />치사율 100%인 ASF에 감염된 멧돼지는 알아서 죽기 때문에 굳이 요란한 포획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겁니다.<br /><br /> "밀도를 낮춰놔서 성공했다고 하면 먼저 발생해 많이 줄어든 지역에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지 말아야 하거든요. 그런데 드문드문 계속 발생하고 있어요."<br /><br />정부는 내년에도 야생멧돼지 총기 포획 기조를 이어갈 방침입니다.<br /><br />개체 수 감축으로 인한 감염병 차단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상현입니다. (idealtype@yna.co.kr)<br /><br />#아프리카돼지열병 #ASF #총기 #포획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