염수 뽑아 올려 3~4달 증발 과정 거쳐 리튬 추출 <br />인산리튬 재가공해 ’최종 제품’ 수산화리튬 생산 <br />포스코, 연간 리튬 2만5천 톤 생산 공장 건설 중 <br />2024년부터 리튬 생산…2030년부터 연산 10만 톤<br /><br /> <br />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, IRA 발효 이후 우리 기업들은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에서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일이 중요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배터리 광물과 부품의 일정 비율 이상을 북미 지역 등에서 조달해야 미국에서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데요. <br /> <br />배터리 제조에 필수 광물인 리튬의 대량 생산 기지가 아르헨티나에 건설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박홍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아르헨티나 서북부 살타주의 해발 4천 미터 고원 지대에 포스코 그룹이 확보한 염호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염호에는 배터리 핵심 소재인 리튬을 함유한 염수가 지하 수백m 아래 묻혀 있고, 이 염수는 관정으로 뽑아 올려져 증발 과정을 거칩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추출한 인산 리튬은 재가공돼 최종 제품인 수산화 리튬으로 만들어집니다. <br /> <br />[김광복 / 포스코아르헨티나 법인장 : (2018년에) 처음 인수했을 때 확인된 매장량은 220만 톤 수준이었습니다. 집중적인 탐사활동을 통해서 2020년 말 공식 리튬 매장량은 1,350만 톤으로 6배 이상 확대됐습니다.] <br /> <br />포스코는 1년에 리튬 2만5천 톤을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현지에 짓고 있는데, 이는 전기차 배터리 60만 대를 만들 수 있는 양입니다. <br /> <br />오는 2024년부터 생산이 시작돼 2030년까지 연간 10만 톤 제조 설비를 갖출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리튬은 전기차 배터리 생산에 들어가는 광물 중에서 소모량이 가장 많고, 대체재가 없는 필수 품목입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이렇게 확보한 리튬을 한국이나 북미 지역에서 정제한다면 IRA에 따른 보조금 지급 기준을 충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정경윤 /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에너지저장연구센터장 : 리튬이온전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리튬은 항상 필수적으로 필요한 원소고요. 현재로썬 리튬이온전지가 에너지 밀도가 상당히 높은 전지예요. 그래서 대체하기가 쉽지 않을 겁니다.] <br /> <br />현재 우리나라는 수산화리튬의 87%를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밖에 니켈과 코발트, 망간 등 배터리 제조에 필요한 다른 원료들도 중국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은 광물의 수입선을 다변화하기 위해 호주, 캐나다, 칠레 등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홍구 (hkpar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122406074280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