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“태영호 의원실입니다.” <br> <br> 북한·외교 안보 전문가들에게 뿌려진 이메일인데, 실은 ‘태영호 의원’이 아니라 ‘김수키’가 보낸 겁니다.<br> <br> 김수키. 우리 주요 국가기관을 교란시킨 북한 해킹 조직이지요. 어찌나 교묘하게 설계했는지 전문가들도 50명 가까이 깜빡 속아 넘어갔습니다.<br><br>태영호 의원조차 “나도 속겠다”며 혀를 내둘렀습니다.<br> <br> 김정근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태영호 의원실 비서 이름으로 국내 외교·안보 전문가에게 발송된 이메일입니다. <br> <br>세미나 참석에 따른 사례비를 지급하겠다며, 첨부 파일을 확인해달라고 요청합니다. <br><br>경찰 수사결과 북한 해킹조직이 보낸 사칭 메일이었습니다. <br> <br>[태영호 / 국민의힘 의원] <br>"저도 이 북한 피싱 메일을 보면서 그 정교함에 깜짝 놀랐습니다." <br><br>이들은 현직 기자와 국립외교원을 사칭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악성 프로그램을 첨부하거나, 국내 포털사이트와 똑같이 생긴 피싱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했습니다. <br> <br>이런 메일을 받은 국내 전문가는 9백 명에 이릅니다. <br> <br>[이병길 / 경찰청 사이버테러수사대 팀장] <br>"피해자들 중 49명은 계정 정보가 유출돼 이메일이 감시당하는 피해를 입었습니다." <br><br>이번 사건을 저지른 조직은 북한의 '김수키'로 8년 전 한국수력원자력 해킹 사건의 주범으로 꼽힙니다.<br> <br>이들은 이번 해킹 과정에서 국내외 서버 3백여 개를 장악했습니다. <br> <br>국내 13개 업체에는 서버 정상화의 대가로 비트코인을 요구했고, 실제로 2곳은 비트코인을 건네준 걸로 조사됐습니다. <br><br>경유지로 사용된 서버에서는 백신의 북한식 용어인 왁찐이라는 단어 흔적이 발견되기도 했습니다. <br><br>경찰은 가상화폐를 요구한 북한의 해킹시도가 국내에서 확인된 건 처음이라며, 비트코인이 전달된 과정을 추적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정근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박찬기 <br>영상편집: 이태희<br /><br /><br />김정근 기자 rightroot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