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서울 북부까지 휘저은 북한 무인기…합참 “격추 실패”

2022-12-26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유난히 북한 도발이 많았던 한 해였죠. 미사일만 최소 65발을 쐈으니까요. <br> <br>2022년을 닷새 앞두고 이번엔 아예 우리 영공을 침범했습니다. <br> <br>북한군 무인기 5대가 군사분계선을 넘어와 서울 북부까지 누비고 다녔는데요. <br> <br>오전 10시 경 넘어온 뒤 종일 우리 영공에 머무르는 대담함을 보였습니다. <br> <br>이 때문에 인천공항, 김포공항 항공기 이륙을 일시 중단하기도 했는데요. <br> <br>우리 군은 격추엔 실패하고 대신 우리도 북으로 정찰자산을 보내 적의 주요 군사시설을 촬영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국방부 연결해서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.<br> <br>김성규 기자! <br> <br><질문 1> 지금도 북한의 드론이 우리 영공을 돌아다니고 있는 건가요?<br><br>[기자]<br>네, 상황은 아직 진행 중입니다. <br><br>군사분계선을 침범한 북한의 무인기를 우리 군이 처음 발견한 건 오전 10시25분 쯤입니다. <br><br>뒤이어 강화도, 파주, 김포 등지까지 모두 5대의 무인기 항적이 발견됐습니다. <br> <br>특히 1대는 서울 북부까지 접근했고, 나머지 4대는 강화도 일대 서해안 지역을 비행했습니다. <br> <br>우리 군은 경고방송에 이어 경고사격을 시행하고 공군 전투기와 육군 공격헬기 등이 격추에 나섰습니다. <br><br>북한 무인기가 남한 지역에서 발견된 것은 2017년 6월 강원 인제군 야산에서 추락한 기체가 발견된 이후 5년 6개월 만입니다. <br> <br>앞서 2014년 상반기에도 파주와 백령도 일대에서 북한 무인기 기체가 발견된 바 있습니다. <br> <br><질문 2> 우리 군이 격추를 못 시켰다는 거죠?<br> <br>결과적으로 북한 무인기 격추에 실패했다고 합참이 조금 전 자인했습니다. <br> <br>1대는 북한으로 돌아갔고, 나머지 4대는 항적 추적에 실패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대신 우리도 상응한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는데요. <br> <br>합동참모본부 이승오 작전부장의 발표 들어보시겠습니다. <br> <br>[이승오 /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] <br>"우리 군은 유·무인 정찰자산을 군사분계선 근접 지역과 이북 지역으로 투입하여 북한 무인기의 침범거리에 상응해 운용하면서, <br> 적 주요 군사시설을 촬영하는 등 정찰 및 작전활동을 실시하였다." <br><br><질문 3> 우리 군도 북한으로 정찰기는 투입했다는데, 무인기 격추가 이리 어려운 건가요?<br><br>합참은 오늘 영공을 침범한 북한 무인기의 크기가 2m급 이하의 소형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격추시키거나 노획한 상황이 아닌데 제원을 밝힌 건 이례적인데요. <br> <br>그만큼 포착이 쉽지 않다는 사실을 에둘러 밝힌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군사 전문가들에 따르면 무인기 외형이 하늘색으로 위장돼 있고 크기가 작아, <br> <br>출격한 우리 항공기가 식별해 떨어뜨리기가 쉽진 않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다만, 북한 무인기 격추를 위해 오후 1시 8분과 1시 22분 각각 김포공항과 인천공항에 1시간 가까이 민항기 통제까지 요청했던 <br>군이 대공 방어 작전에 실패한 책임을 면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국방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> <br>영상취재: 김영수 <br>영상편집: 강민<br /><br /><br />김성규 기자 sunggyu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