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북핵 위기가 고조되면서 국민의힘 북핵 특위가 제주도를 전략도서화 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소식 어제 단독으로 전해드렸죠. <br> <br>우리 공항을 군사공항으로 만들겠다는 거냐, 제주지역 정가가 발칵 뒤집혔습니다. <br> <br>특위는 진화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김호영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채널A가 보도한 국민의힘 북핵특위 보고서입니다. <br><br>북핵 위기가 임박시 미국 핵무기의 한반도 전진배치를 추진해야 한다며 제주도를 전략도서화하는 문제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내용입니다.<br> <br>어제 북핵특위 최종회의에서는 제주도민 반발을 우려해 '전략도서화' 표현은 넣지 않았지만 특위 위원장은 공개적으로 제주 신공항 건설시 군용기 이용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. <br><br>[한기호 / 국민의힘 북핵위기대응특별위원회 위원장 (어제)] <br>"(큰 공격이 임박했을 때 제주도를 전략도서화 하는 게 필요하다는 논의가 있었다는 기사가 나왔는데?) 제주도 같은 경우에 공항을 새로 만든다고 하면 그 공항이 우리가 전시에 또 북한 핵을 억제하는데 필요한 대형 수송기가 이착륙이 가능한 정도까지도 해줬으면 좋겠다. 그런 희망을 담은 거죠." <br> <br>제주지사는 오늘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보고서 폐기를 요구했습니다. <br> <br>[오영훈 / 제주지사] <br>"제주 제2공항이 군사공항으로 활용된다면 건설 자체를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힙니다. 보고서를 당장 폐기할 것을 정부와 여당에 강력히 촉구합니다." <br><br>논란이 커지자 북핵특위는 "특위 공식 입장이 아니고 최종 보고서에는 포함되지 않았다"고 해명했습니다. <br> <br>또 "제주도에 핵무기를 배치한다는 내용은 특위 회의에서 나온 일부의 개인의견일 뿐"이라며 "제주도 뿐만 아니라 어느 지역도 특정해 거론하지 않았다"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호영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박형기<br /><br /><br />김호영 기자 kimhoyoung11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