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뭐 하다 3년 뒤에나?…무인기 공격 기술 현재 개발 중

2022-12-28 487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그러면 묻게 되죠?<br> <br>북한이 무인기를 또 내려 보내면 잡을 수 있을까? <br> <br>확실하게 격추시키려면 시간이 꽤 걸릴 거라는데요. <br> <br>무슨 대책을 준비 중인지 김재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 <br><br>[기자]<br>고온의 레이저를 쏘자 수백 미터 떨어져있는 목표물에서 큰 폭발이 일어납니다. <br> <br>활공하는 무인기를 레이저로 직접 타격할 수 있는 기술로 현재 개발 중입니다.<br><br>초록색 전파 방해 기기가 작동되자 무인기가 비틀대더니 바닥으로 뚝 떨어집니다. <br> <br>무인기를 무력화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인데, 레이저나 기관포 등 물리적 충격을 줘서 폭파시키는 하드 킬 방식과, 전파 방해 등으로 무인기의 추락을 유도하는 소프트 킬 방식입니다. <br><br>그제 우리 군은 기관포 100발을 쏘는 하드 킬 방식으로 대응했지만, 피탄으로 인한 민간 피해 우려 등으로 사용이 제한됩니다. <br> <br>[이성준 / 합참공보실장] <br>"민간 피해가 우려되어서 사격하지 못했다고 한 부분은 수도권 쪽을 비행한 무인기를 말하는 것이고…" <br><br>전문가들은 조종 주파수나 GPS 신호를 방해해 추락을 유도하는 이른바 '재밍'의 도입이 시급하다고 말합니다.<br> <br>[장병철 / 육군협회 대드론 센터장] <br>"(재머는) 먼거리서부터 비행하는 소형 무인기를 확인해 여러 대가 내려왔을 경우에도 이탈시키고 통제하는 수단이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합니다." <br><br>이미 2014년 4월 북한 무인기 소동 때부터 거론된 방안들이지만, 정부는 지난달에서야 '한국형 재머 개발 사업'을 채택했습니다. <br> <br>244억 원이 투입되는데 앞으로 3년 뒤에야 그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8년 전부터 북한 무인기 소동이 되풀이되는 데는 안일한 대처 속도도 한 원인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재혁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김지균<br /><br /><br />김재혁 기자 winkj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