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겨울철 공사현장 질식사고 '비상'...올해 사고 없었다면 감독 제외 / YTN

2022-12-29 60 Dailymotion

가스누출 감지되면 즉시 대피 신호 발신 <br />숯탄·갈탄 보온 양생 작업하다 질식사고 잇따라 <br />15일 파주 공사현장서 숯탄 사용하다 질식사고<br /><br /> <br />겨울철 공사현장은 다른 계절보다 안전사고의 위험에 더 많이 노출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콘크리트를 빨리 굳히기 위해 난방기기를 쓰다 질식될 위험이 커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. <br /> <br />최명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하 2층, 지상 25층 규모의 한 아파트 공사 현장입니다. <br /> <br />공정률 13%로 지하층 골조와 전기설비 공사가 한창입니다. <br /> <br />영하 6도의 강추위 속에서 근로자들이 콘크리트 타설을 앞두고 철근 작업에 여념이 없습니다. <br /> <br />바로 옆 타설이 완료된 곳은 콘크리트가 어는 것을 막기 위해 하얀 천으로 촘촘히 둘러쳤습니다. <br /> <br />천막 안쪽에선 열풍기가 뜨거운 바람을 내뿜으며 24시간 쉼 없이 돌아갑니다. <br /> <br />가스 누출을 잡아내는 이동식 장비가 세트로 설치돼 있어 이상이 감지되면 중앙관제실을 통해 즉시 대피 신호를 보내게 됩니다. <br /> <br />[이승헌 / 건설업체 현장소장 : 산소 농도 측정기기를 가지고 내부의 산소 농도와 일산화탄소 등의 농도를 측정해서 일산화탄소 농도가 30ppm, 기준치 이상을 초과하면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수신됩니다.] <br /> <br />겨울철 건설현장에선 콘크리트가 얼지 않도록 총력전을 펼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보온기기 대신 상대적으로 저렴한 숯탄이나 갈탄을 쓰는 경우가 많다 보니 질식사고도 잇따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10년간 발생한 건설업 질식 재해 사고 25건 가운데 68%에 해당하는 17건이 겨울철 콘크리트 보온 양생 작업 중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5일 경기도 파주 공사현장의 집단 질식사고도 숯탄으로 양생 작업을 하다 벌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겨울철 공사현장에선 내린 눈이 얼어붙어 자칫 미끄럼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는 만큼 제설제를 뿌리는 것도 잊어서는 안 됩니다. <br /> <br />근로자가 체감온도 영하 10도의 극한 작업장에서 일하는 만큼 저체온증이나 동상 등 한랭 질환 예방도 필수적입니다. <br /> <br />[이정식 /고용노동부 장관 : 겨울철에는 추위로 인해서 질식사고라든가 콘크리트 붕괴사고, 그리고 화재 폭발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. 재해가 자주 발생하는 데 대해서는 불시 점검과 감독을 강화해 나가겠습니다.] <br /> <br />고용노동부는 자기규율 예방체계에 맞춰 올해 사망사고가 없었던 건설업체는 내년 예방감독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습니다.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명신 (mscho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230052326986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