화재가 발생한 제2경인고속도로 방음 터널은 보통 아크릴이라고 부르는 PMMA라는 재질로 만들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강한 충격에도 쉽지 망가지지 않고 소리를 흡수하는 성능이 뛰어나 방음 터널을 만들 때 많이 쓰이는데, 화재에는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혜린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화재가 발생한 과천 제2경인고속도로. <br /> <br />터널 주변에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이미 조성되었거나 계속 만들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차량 소음 민원 때문에 고속도로에 방음 터널이 설치됐습니다. <br /> <br />방음 터널의 재질은 흔히 아크릴이라고 불리는 폴리메타크릴산메틸, PMMA. <br /> <br />외부 충격에 강하고 햇빛도 잘 투과돼 미관상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인화점이 280도로, 상대적으로 낮아 화재에는 취약하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불에 녹아 떨어진 뒤에도 지속적으로 연소돼 2차 화재를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일반 터널은 50m 간격으로 소화 설비를 설치한단 규정이 있지만 방음 터널은 예외입니다. <br /> <br />그만큼 불이 났을 때 신속 대응이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[박청웅 / 세종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: 이건 터널로 규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소방시설 자체가 없어요. 그래서 이런 부분을 빨리 좀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겠다는 생각이 드는데요.] <br /> <br />방음 터널 사고는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재작년 8월, 경기도 용인시에서 차량 화재가 발생했는데, 이때도 불이 방음벽으로 옮겨붙어 터널 전체가 한꺼번에 타버렸습니다. <br /> <br />터널 화재는 큰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대책이 절실하지만, 검토되고 있는 대체재는 없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불에 타지 않는 강화 유리를 이용해 방음 터널을 만들 수도 있지만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약하고 비싸다는 한계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유사한 피해가 재발하지 않도록 방음 터널에 조금 더 적합한 소재를 연구하고 소방 설비 설치 규정을 손봐야 한단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혜린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혜린 (hongkiza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23011111852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