올 한 해 역대 최대로 많은 탄도미사일 발사 등 도발을 해온 북한이 내부적으론 심각한 식량난을 겪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내년엔 중국, 러시아와의 교역확대 등으로 숨통이 트이면 이를 계기로 국방력 강화를 더욱 강조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최두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한이 지난달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쌀은 3만 톤이 넘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발생 전인 2019년 9월 이후 3년여 만에 최대치로 북한 식량난의 심각성을 엿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. <br /> <br />올해 북한의 식량 작물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8만 톤이나 줄어든 451만 톤으로 추정되는 데다, 유엔도 북한을 외부 식량 지원이 필요한 국가로 분류할 정도로 식량 사정은 심각한 상황. <br /> <br />봄 가뭄과 여름 수해 등 각종 자연재해는 물론 코로나19 발생과 같은 악재가 겹겹이 쌓였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내년 북한의 식량 상황엔 어느 정도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우선 북한의 기상 여건이 평년 수준을 회복할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코로나19가 잦아든다면 북한의 주요 우방국인 중국과 러시아와의 교역이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중국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유지했던 이른바 '제로 코로나' 정책을 대폭 완화한 만큼, 북한으로선 교역확대에 기대를 걸어볼 만합니다. <br /> <br />[정은이 /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: 내년에 북한 식량 문제를 결정하는 건 (북한) 국내적인 작황 사정도 있지만, 중국이나 러시아로부터 원조를 받거나 상업적 교역이 이뤄지느냐에 따라서도 달라질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체제안정과 직결되는 식량 문제에 숨통이 트이면, 북한은 김정은 위원장이 이번 전원회의에서 핵심 목표로 제시한 국방력 강화를 더욱 다그치며 주민들의 결속에 나설 것으로 관측됩니다. <br /> <br />YTN 최두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두희 (dh022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123106012388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