올 한해 북한 미사일 도발 역대 최다…핵 위협도 노골화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은 올 한해에만 60발 넘는 미사일을 쏘며 말그대로 '역대급' 도발을 일으켰습니다.<br /><br />공식집계가 이뤄진 기간 중 올해가 가장 많은 건데요.<br /><br />이 중 한 발은 분단 이후 처음으로 북방한계선 남쪽에 떨어지는가 하면, 미국 본토 타격이 가능한 신형 ICBM까지 등장했습니다.<br /><br />여기에 핵 위협도 노골적이었습니다.<br /><br />신현정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올해 북한의 핵 위협은 그 어느 때보다 빈번했고, 유형도 다양했습니다.<br /><br />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핵무기 사용 가능성을 시사했고,<br /><br /> "공화국의 핵 무력은 언제든지 자기의 책임적인 사명과 특유의 억제력을 가동할 수 있게 철저히 준비되어 있어야 합니다."<br /><br />핵 보유를 공식화하고 핵 선제공격을 명시한 핵무력 정책을 법령으로 제정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올 한해 쏘아올린 미사일은 60발이 넘습니다.<br /><br />이 중 8발은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으로, 미국 본토까지 타격할 수 있는 화성-17형도 포함됐습니다.<br /><br />횟수로 치면 40차례에 육박하고, 공식 집계가 시작된 1984년 이후 가장 많았습니다.<br /><br />올해 다음으로 가장 미사일 발사가 활발했던 때는 25차례와 18차례를 각각 기록한 2016년과 2014년이었습니다.<br /><br />도발 수위도 유례 없이 높았습니다.<br /><br />남북이 9·19 군사합의에서 포병 사격을 금지한 해상완충구역에 포 사격을 벌인 것만 수 차례.<br /><br />분단 이후 처음으로 북방한계선 NLL 남쪽에 북한 미사일이 떨어지기도 했습니다. 미사일이 울릉도를 향하면서 한때 공습경보가 발령됐습니다.<br /><br />나아가 북한은 액체연료보다 긴 시간 보관이 가능하고 은닉이 쉬운 고체연료 시험과 군사 정찰위성 시험에 성공했다고 주장합니다.<br /><br />ICBM의 핵심 과제인 대기권 재진입 기술개발을 입증하겠다며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나서 정상각도 발사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올해 위협을 노골화한 배경으로는 대북 제재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과 미국의 대북정책의 변화 그리고 중국과 러시아의 배후 지원이 꼽힙니다.<br /><br /> "내부적으로 상당히 여러가지로 어렵잖아요. 비료 조달도 잘 안되고 생산이 잘 안되니까… 그 어려움 속에서 내부적으로 결속도 필요하고 김정은의 실력을 과시하고 선전해서 충성도를 높이기 위한 의도도…"<br /><br />북한의 위협이 고도화되면서 한미는 내년부터 연합훈련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한미 국방수장이 미국의 최첨단 스텔스전투기 등 전략자산 전개도 늘리기로 합의해 한반도를 둘러싼 군사적 긴장감은 내년에도 지속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신현정입니다. (hyunspirit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