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뉴스에이 조수빈입니다. <br><br>2022년 마지막 날이 지나고 있습니다. <br> <br> 지나간 날을 기억하고 미지의 새해를 기다리는 순간이 잠시 후 또 한번 다가옵니다. <br> <br> 먼저 ‘타종행사’는 3년 만에 서울 보신각에서 열리지요. <br><br>11시 반부터 시작인데 10만 명이 몰릴 걸로 예상됩니다. <br> <br> 현장 연결하겠습니다. 백승연 기자<br> <br> [질문1] 3년을 기다리지 않았습니까. 4시간 반 전인데 지금도 많이들 나오셨습니까? <br> <br>[기자]<br>네, 제 뒤로 보이는 곳이 제야의 종소리가 울려퍼질 보신각입니다. <br> <br>행사까지는 아직 4시간 넘게 남았는데요, 추운 날씨에도 2023년을 특별하게 맞이하기 위한 시민들로 벌써부터 북적거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코로나19가 확산된 2020년 이후, 보신각 타종 행사는 온라인으로만 진행됐는데요, 3년 만에 직접 제야의 종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되자 많은 시민들이 모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오늘 행사에는 지난 8월 폭우 때 배수구를 뚫어 시민들을 구한 최영진 씨와 카타르 월드컵 본선 진출의 주역 조규성 선수 등 시민대표 10명도 참여합니다. <br> <br>[질문2] 10만 명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만 보신각 타종행사. 원래도 사람이 몰려서 실제로 인파사고가 난 기록도 있거든요. 충분히 대비하고 있는지가 가장 궁금합니다. <br><br>네, 오늘 행사에는 10만 명의 인파가 몰릴 걸로 예상되고 있는데요, 이전 행사 때는 볼 수 없었던 다양한 안전 조치가 마련됐습니다. <br> <br>경찰은 45인승 버스 지붕 위에 부스를 설치했는데요, 경찰관이 이 곳으로 올라가 인파가 몰리는 상황을 직접 관리하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현장에는 경찰 기동대 27개 중대, 안전요원 1천여 명이 배치되구요, 현장안내소와 한파쉼터도 설치됩니다. <br> <br>또 보신각까지 오지 않아도 타종 행사를 볼 수 있도록 광화문광장과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 전광판이 설치돼 있습니다. <br> <br>보신각 일대 차도는 밤 9시부터 내일 새벽 1시 반까지 전면 통제되구요, <br> <br>지하철은 밤 11시부터 내일 새벽 1시까지 1호선 종각역을 무정차 통과합니다. <br> <br>전국 곳곳에서도 새해맞이 행사가 열리는데요, 대구에서는 일본 경찰의 DJ폴리스를 본 뜬 높이 10미터의 리프트를 설치해 인파관리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.<br><br>지금까지 서울 보신각 앞에서 채널A 뉴스 백승연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이기상 김상태(스마트리포터) <br>영상편집: 변은민<br /><br /><br />백승연 기자 bsy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