새해를 맞이해 어느 때보다 분주한 곳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바로 전통시장인데요, <br /> <br />설 대목을 3주 가까이 앞두고 있지만, 고물가 여파로 손님들 지갑이 쉽게 열리지 않으면서 상인들은 시름이 깊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. 황보혜경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 상도동에 있는 성대전통시장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과일가게와 정육점, 채소 가게에 이어서 이번에는 수산물 가게로 갔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곳 수산물 가게에서도 물가 인상 여파를 느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곳에선 수입 동태 2마리를 5천 원에 판매하다 석 달 전 6천 원으로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원양산 오징어는 3마리 1만 원에서 지금은 1만2천 원에 판매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예년보다 이른 설을 앞두고 농·축·수산물 가격이 다시 들썩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말 기준 고등어와 조기, 명태 1마리당 가격이 한 달 전보다 5~12%씩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30일 기준 시금치 1㎏ 평균 소매가격은 7천443원으로 한 달 전보다 3.3%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배추 한 포기 가격도 3천11원으로 한 달 새 4.5%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생강 1㎏은 만2천677원으로 9.6% 올랐고 파프리카는 200g에 천663원으로 무려 17% 넘게 치솟았습니다. <br /> <br />닭이나 오리 1㎏당 가격도 한 달 사이 4%~9%씩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상인들은 이처럼 오른 가격 탓에 예전보다 찾는 손님이 줄고 있다고 말하는데요, <br /> <br />직접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김상철 / 정육점 업주 : 지난해 11월쯤엔 (닭고기) 1.2㎏ 기준으로 6천5백 원에서 7천 원 했는데 지금은 7천5백 원에서 8천 원 정도 하고요. 기존에 드시던 분들도 드시던 횟수가 줄고, 왔다가 그냥 가시는 분이 많습니다.] <br /> <br />이 같은 물가상승률은 통계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.1%로, 1998년 외환위기 이후 24년 만에 최대폭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 전쟁으로 에너지·원자재 가격 불안이 여전한 데다, 새해에는 전기료를 비롯한 공공요금도 줄줄이 인상될 거란 점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물가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이번 주 '설 민생안정대책'을 발표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서울 성대전통시장에서 YTN 황보혜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황보혜경 (bohk1013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102155538125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