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작 중국에선 코로나19가 대유행 중인데도 불구하고 전국 각지의 새해맞이 행사에 사람들이 구름처럼 몰려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부터 시행되는 우리나라의 중국발 입국 규제 조치에 불만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 연결합니다. 강정규 특파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베이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'제로코로나'가 사실상 폐지된 후 처음 맞는 새해 연휴 감염 확산 우려가 나올 만큼 각지에 사람들로 붐볐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중국은 지난 주말부터 오늘까지 새해 사흘 연휴라 들뜬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제 각지에서 열린 새해맞이 카운트 다운행사에도 구름처럼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관영 CCTV도 새해맞이 현장을 생중계하는 등 당국 차원에서도 대내외에 활기찬 새해 모습을 보여주려 애쓰는 모양새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코로나19가 대유행하는 상황에서 이런 축제 분위기를 조성하는 게 맞느냐는 자성의 목소리도 들립니다. <br /> <br />야외 행사인 데다 대부분 마스크는 쓰고 있었다지만 워낙 밀집도가 높아서 감염 확산 악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는 겁니다. <br /> <br />실제 경제 수도 상하이도 전체 인구의 절반 가량인 1000만 명이 감염됐다는 추산이 나오는 등 베이징에 이어 의료 대란에 시달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대도시 감염 상황이 정점을 찍고 곧 농촌 지역으로 퍼져나갈 거란 전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농촌의 경우 의료 기반 취약하고 고령층이 많아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더 걱정인 게 음력설 인구 대이동일 텐데 중국 내에선 불꽃놀이 재개 여부를 두고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새해 맞이 행사에서 사람들은 풍선을 하늘로 띄우거나 폭죽을 쏘아 올리며 축제 분위기를 즐겼습니다. <br /> <br />일부 지역에선 이를 제지하려는 경찰과 군중 사이에 실랑이가 벌어지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 중국에서 새해에 폭죽을 터뜨리는 게 금지돼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원래 중국에선 음력설에 폭죽을 터뜨려 액운을 쫓는 오랜 풍속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시진핑 집권 이후 안전사고 위험과 매연 방지 등 명목으로 제한을 걸기 시작했고요. <br /> <br />작년 1월부터는 베이징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전면 금지 조치가 내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두고 논란이 끊이지 않는데 이번에 제로코로나 폐지와 함께 폭죽 금지 조치도 풀어달란 여론에 다시 불이 붙었습니다. <br /> <br />한편 일각에서는 그동안 제로코... (중략)<br /><br />YTN 강정규 (liv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102165946202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