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, 임시 화장장 건설 속도전…"사망자 감당못해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불과 얼마 전까지 '제로 코로나'를 고수하며 격리시설 확충에 주력했던 중국이 이제는 화장터를 확보하기 위해 바쁜 모습입니다.<br /><br />베이징을 연결해 자세한 소식 들어보겠는데요.<br /><br />임광빈 특파원.<br /><br />사망자가 지금도 속출하고 있나 보군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 차례 대유행이 지나간 수도 베이징의 사정이 그나마 조금 나은 편이라고 하지만, 다른 지역은 확산세가 심상치 않습니다.<br /><br />이번에는 '경제 수도' 상하이가 난리입니다.<br /><br />한 대학병원 응급실 앞에 구급차가 줄을 서 있는데요.<br /><br />이미 환자들로 꽉 찬 응급실에 들어가지 못하고 병원 밖에서 처치를 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다른 공립병원의 사정도 별반 다르지 않은데, 곳곳에서는 안타까운 울음소리도 터져 나옵니다.<br /><br />상하이 교통대 의대 부속병원의 천얼전 부원장은 바이러스가 광범위하게 퍼진 상하이에서 주민 70%가량이 이미 감염됐을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봄 상하이가 두 달여 봉쇄됐을 때보다 20~30배 많은 규모라는 설명입니다.<br /><br />상하이에서 60만여 명이 확진되고 600명 가까이 사망했던 당시와 비교하면, 지금의 상황이 얼마나 위중한 지를 짐작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상하이뿐만 아니라 중국 곳곳에서는 사망자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지난달 베이징의 장례식장과 화장장의 모습이 재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일부는 웃돈까지 요구하는 통해 화장장이 아닌 아파트 주차장 등에서 장례를 치를 정도입니다.<br /><br />'제로 코로나'를 고수하며 봉쇄식 방역을 펼치던 때 중국 곳곳에서 대규모 임시 격리시설이 만들어졌다면, 지금은 임시 화장장이 곳곳에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이제 격리시설은 짓지 않습니다. 화장장을 짓기 시작했습니다. 보세요. 이건 사람을 태우는 큰 화로입니다."<br /><br />상하이에서는 XBB와 XBB 1.5 등 신종 변이까지 잇따라 확인되면서 새로운 파동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옵니다.<br /><br />XBB 변이가 설사와 복통을 유발한다는 소문이 돌면서 약국에 지사제 등이 동나는 품귀현상까지 벌어졌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중국의 이 같은 코로나 확산세를 우려하는 세계 각국이 중국발 입국자를 통제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중국이 강력 반발하고 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중국이 그동안 시설격리를 강제하며 '봉쇄식 방역'을 펼칠 때는 개방하라고 비판하더니, 지금은 왜 중국인들을 제한하는 것이냐는 겁니다.<br /><br />중국 관영 CCTV는 인터넷을 통해 "미국을 대표로 하는 일부 국가는 중국에 개방을 하라고 떠들더니 지금은 다른 일을 하기 시작했다"고 비난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에서 유행하는 변이 바이러스는 세계 각지에서 확인되는 것과 같다고 주장하며, 중국발 입국자를 제한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따져 물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당국도 중국발 입국자를 제한하는 국가들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겠다며 발끈했습니다.<br /><br /> "일부 국가들이 중국만을 대상으로 입국 제한 조치를 취하는 것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고, 일부 과도한 관행은 더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."<br /><br />이에 미국은 "전적으로 공중 보건과 과학적 근거에 따른 조치"라며, 중국이 보복할 이유는 없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 "전 세계 국가들이 자국민 보호를 위해 신중한 보건 조치를 취한다고 해서, 이에 (중국이) 보복할 이유는 없습니다."<br /><br />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도 브리핑을 통해 "중국에서 최근 코로나19 발생 증가와 역학 자료에 대한 투명성 부족에 따른 것"이라며 "잠재적인 코로나19 변이 확산 가능성도 경계하고 있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외교부 마오닝 대변인은 오늘 브리핑에서도 이 같은 지적에 동의할 수 없다며, 중국은 국제사회와 데이터를 공유하고 있다고 반발했는데요.<br /><br />현재까지 한국과 미국, 일본 등 최소 14개국 이상이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심사를 강화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#중국 #상하이 #변이 #화장장 #미국 #보복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