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윤석열 대통령이 오늘 북한 무인기 대응전략을 보고받고 이런 지시를 내렸습니다. <br> <br>“한 번 더 이렇게 우리 영토를 침범하면 9.19 군사합의 효력 정지를 검토하라”고요. <br> <br>9.19 군사합의 효력을 정지하면 군사분계선 내에서도 군사 훈련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조영민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[중부전선 GP 시범철수 (지난 2018년)] <br>"(폭파) 실시하겠음. 폭파 삼창! 폭파! 폭파! 폭파!“ <br> <br>지난 2018년 9.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철거됐던 전방 초소들이 다시 세워질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. <br> <br>윤석열 대통령이 9.19 남북군사합의의 효력 정지를 언급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김은혜 / 대통령 홍보수석비서관] <br>"북한이 다시 이같이 우리 영토를 침범하는 도발을 일으키면 9.19 군사합의 효력 정지를 검토하라고 안보실에 지시했습니다." <br><br>9·19 남북군사합의는 지난 2018년 문재인 정부가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맺은 부속 합의로 남북이 일체의 군사적 적대행위를 중단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. <br><br>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"효력이 중지된다면 군사분계선 인근에서 우리 군의 대북 감시 정찰 활동이 가능해지고 초소를 설치하거나 포사격 훈련도 할 수 있을 것"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><br>대북 확성기 방송 같은 심리전을 재개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. <br> <br>윤 대통령의 오늘 발언은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, 국방과학연구소로부터 북한 무인기 도발 대응 전략을 보고받는 자리에서 나왔습니다. <br><br>윤 대통령은 이종섭 국방부장관에게 합동 드론부대 창설과 소형 드론 대량 생산 체계 구축, 드론 킬러 체계 개발도 지시했습니다. <br><br>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"이번에 언급한 합동 드론부대는 2018년 창설된 드론부대와 달리 타격, 전자전, 심리전 등 다양한 임무수행을 목적으로 한 부대" 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><br>더불어민주당은 "북한에게 9.19 합의를 뛰어넘어 남한에 적대행위를 할 수 있도록 여지를 주는 꼴"이라며 "전쟁을 바라는 것이냐"고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영민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한규성 조승현 <br>영상편집 : 최동훈<br /><br /><br />조영민 기자 ym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