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학병원이든 동네병원이든 소아과 진료를 보는 곳이 확 줄면서 진료대란 우려가 점차 현실화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나마 문을 열고 있는 동네 소아과로 환자들이 몰리면서 대기 시간이 1시간가량 되고, 대학 병원 소아과 전공의가 두 달 뒤면 절반 이상 줍니다. <br /> <br />임성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 마포구에 있는 소아 청소년과 의원. <br /> <br />진료 시작 한 시간 만에 대기 공간은 어린이와 보호자들로 발 디딜 틈이 없습니다. <br /> <br />진료를 받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은 기본 30분에서 한 시간 남짓. <br /> <br />환자 입장에선 더욱 더디게 느껴질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[윤준영 / 서울 이촌동 : (대기를) 한 30분, 40분 정도 한 것 같아요. 근방에 몇 개가 없어서요. 몰리게 되는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지난 5년 사이 660곳이 넘는 동네 소아과 병원이 문을 닫으면서, 남은 병원으로 환자가 몰리는 겁니다. <br /> <br />[김은선 /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: 수가가 안 되기 때문에 그렇게만 봐서는 소아청소년과를 경영할 수가 없습니다. 주변 병원들이 많이 폐업하게 되고, 더더욱 아픈 환자들만 집중해서 볼 수밖에 없고….] <br /> <br />미래는 더 불투명합니다. <br /> <br />소아과 전공의 지원 숫자가 급감하다 못해 올해 모집에는 정원 207명에 33명만 지원했습니다. <br /> <br />주로 평일 야간, 주말·공휴일에 응급 환자를 돌보는 전공의가 확 줄면서, 직격탄을 맞은 건 대학 병원입니다. <br /> <br />수도권 병원마저 입원 환자를 받지 못한다거나, 진료 시간을 대폭 줄이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강남 세브란스 병원 응급실 앞에는 이처럼 밤 10시 이후에는 응급 소아 환자를 진료할 수 없다는 안내문이 붙었습니다. <br /> <br />저출산 영향에 비급여 항목이 거의 없다 보니 의사들이 꺼리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더 큰 문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논의 기구조차 없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[임현택 /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 회장 : (몇 년 전부터) 대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내왔지만 뚜렷한 대책을 정부가 내놓지 않았고, 보건복지부, 질병청, 기재부, 지방정부와 국회 그리고 소아과 전문의들이 협의체를 만들어….] <br /> <br />당장 두 달 뒤, 4년 차 소아과 전공의 188명이 수련을 마치고 대학 병원을 떠나지만, 충원되는 인력은 고작 33명에 불과해 '진료대란'이 우려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미 소아 진료 인프라가 도미노처럼 붕괴하기 시작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... (중략)<br /><br />YTN 임성재 (sj102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104231159213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