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북한 무인기 사태 속보로 이어갑니다. <br> <br>우리 군이 무인기의 항적을 포착하고도 1시간 반이 지나서야 대비태세를 발령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 뒤늦긴 했지만 북한 무인기만한 비행체가 새인지, 풍선인지 구별할 수 있는 최첨단 감시장비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안건우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 적기가 방공망을 침투해 들어오자 감시체계가 추적을 시작합니다.<br> <br>비행 패턴을 읽어내는 전자 눈이 새떼나 풍선인지, 무인기인지 구분해 무인기의 방향과 착륙 예상장소까지 분석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 이스라엘이 자랑하는 무인기 감시체계 '스카이스포터'입니다. <br> <br> 이번에 서울 상공을 침범한 북한 무인기보다 훨씬 작은 반지름 1미터 크기 물체까지 식별할 수 있다는 게 제조사의 설명. <br> <br>[신종우 /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] <br>"(군이) 레이더 상에서 점으로 보이는 것들을 식별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는데, 점들을 전자광학식 체계로 비행물체인지 새인지 구별할 수가 있는 겁니다." <br> <br>국방부 관계자는 '스카이스포터는 아니지만 북한 무인기 대응 강화에 추가 전력 소요를 검토하고 있다"는 입장.<br> <br> 우리 군은 2027년까지 탐지 자산과 격추 무기 체계 사업 등에 5600억 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. <br> <br> 첨단 드론 탐지 장비 도입이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른 가운데 우리 군의 우왕좌왕 대응은 또 도마에 올랐습니다. <br> <br>군은 지난달 26일 10시 19분에 북한 무인기를 포착했지만 6분이 지나 상급부대에 보고했습니다.<br><br> 그러나 대응에 나선 합동참모본부는 수도를 지키는 부대에 상황을 전파하지 않았고 무인기 대비태세에 돌입하는 '두루미' 발령까지는 1시간 반 넘는 시간이 걸린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<br> <br> 그동안 북한 무인기는 서울 상공을 휘젓고 다녔습니다.<br><br> 우리 군은 최초 발견 부대와 수도를 지키는 부대 사이 상황 공유와 협조가 부족했단 점을 인정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배시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