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기자동차 보급이 늘며 수요가 줄어든 주유소가 전기차와 수소차 충전도 가능한 복합 충전소로 변신을 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공중전화와 전화국, 우체통 등 요즘 쓰임새가 줄어든 인프라들도 미래에 살아남기 위해 진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승윤 기자가 현장에 다녀왔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 외곽의 특별한 주유소, 이른바 '에너지 복합 스테이션'입니다. <br /> <br />수소는 물론 가스와 전기 충전소까지 갖춰 모든 차종의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는 곳으로 변신한 겁니다. <br /> <br />[김기호 / 한국석유관리원 사업관리팀장 : 주유소들이 서로 경쟁이 심하다 보니까 이제 수익성이 상당히 안 좋아지고 있는 상황이거든요. 그렇다 보니 주유소들이 새로운 혁신 방안의 일환으로….] <br /> <br />전국 만천여 곳의 주유소 중 전기차 충전은 3.9%인 435곳, 수소차 충전은 0.3%인 35곳에서만 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전기차와 수소차 수요가 늘수록 이런 복합 충전소도 증가할 전망이지만, 풀어야 할 과제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에너지 충전은 통합돼 있는데 사실 운영 주체는 분리돼 있습니다. 이런 에너지 복합 스테이션을 활성화하려면 지금 이렇게 분리돼있는 주체를 통합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때 생활필수품이던 공중전화도 이제 역사의 뒤안길로 물러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4천 개가 사라져 전국에 2만 2천 개 정도 남았고, 올해도 2~3천 개가 철거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비상 연락의 필요성 때문에 우편번호당 하나씩 남겨놓긴 했지만 전기 오토바이 충전소 등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채국 / KT링커스 수도권광역본부 동부지사장 :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는 CD기(현금지급기) 부스를 설치하고요, 대학가에는 충전돼지 부스, 시내권에는 공기가 안 좋은 곳에는 대기질 측정 부스를 설치해서 저희가 시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….] <br /> <br />전화국도 시대 흐름을 거스를 수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상당수가 원격 근무가 가능한 거점 오피스 등으로 변신해 새로운 용도로 활용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체통도 새 임무를 맡았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생태계를 오염시킬 수 있는 폐의약품을 우체통으로 수거하는 방안을 세종시에서 시범 운영해보고, 전국으로 확대도 고려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윤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승윤 (risungyo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108222459039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