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 씨의 자금 흐름을 추적하는 검찰 수사가 언론계와 법조계를 상대로 한 로비 의혹으로 번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견 기자들과의 돈거래는 물론, 언론사 출신 고문단 수사로 확대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는데, 현직 판사들에 대한 접대 정황도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김혜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김만배 씨의 대장동 개발이익 추적 과정에서 불거진 '언론계 로비 의혹'. <br /> <br />한겨레 신문 등 언론사 간부급 기자 3명에게 많게는 9억 원의 자금이 흘러간 정황이 드러나면서, 일단 검찰은 경위파악에 나선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거래된 돈의 정확한 성격은 물론, 부정한 청탁이나 대가성이 있었는지가 규명 대상입니다. <br /> <br />김 씨가 불리한 기사를 막는 등 여론전에 대비하기 위해 제공한 금품이라면, 배임수재 혐의가 성립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수사 진행 상황에 따라 김 씨가 100% 지분을 가진 화천대유에서 고문을 지낸 전직 언론인들로까지 수사가 확대될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앙 일간지에서 논설위원을 지낸 A 씨는 연봉 1억2천만 원에 고문계약을 맺고 4개월 동안 급여 3천5백여만 원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경제지 선임기자 출신 B 씨와 민영 뉴스통신사 부국장이었던 C 씨는 각각 급여로 9천만 원·2천4백만 원을 받았고, 중앙 일간지 기자 출신 전직 행정자치부 장관 정책보좌관 D 씨는 별다른 화천대유 활동 내역 없이 모두 1억5천6백만 원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또 김 씨가 기자 관리 명목으로 지난 2016년에서 2020년까지 명절마다 상품권 수천만 원을 챙겨갔다거나, 기자들과 골프를 치고 금품을 줬다는 남욱 변호사의 진술이 있었던 만큼, 언론계 로비 의혹을 둘러싼 검찰 수사는 불가피한 수순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'50억 클럽' 논란에도 별다른 성과가 없었던 법조계 로비 의혹으로도 이번 수사가 번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김 씨가 판사를 상대로 유흥업소 술값을 여러 차례 대신 내준 정황이 포착된 겁니다. <br /> <br />검찰은 대장동 일당이 자주 모이던 한 유흥업소 직원에게서 김 씨가 2017년 전후로 당시 부장판사였던 변호사를 데려와 술값을 내거나 사후 정산을 해주기도 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해당 변호사는 침묵을 이어가는 가운데, 문제의 자리에 동석한 것으로 알려진 한 현직 부장판사는, 술자리 중간에 연락을 받고 30분가량 머문 게 다라며, 술값을 누가 냈는지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혜린 (khr080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11019142946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