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내일이면 광주 아이파크 붕괴 사고가 난지 1년이 됩니다. <br><br>여섯 명의 목숨을 앗아갔던 사고 이후에, 관련자들에 대한 재판은 아직도 진행중입니다.<br> <br> 붕괴 건물도 아직 그 자리에 서 있습니다. <br> <br> 그런데 무엇보다 그대로인 것은 가족을 잃은 유족과 주민들의 고통입니다.<br> <br>공국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폭격을 맞은 것처럼 힘없이 무너져 내리는 신축 아파트. <br> <br>16개 층이 한꺼번에 무너져 작업자 6명이 매몰됐고, 한달 가까운 수색 끝에 모두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. <br> <br>1년이 지났지만 상황은 변한 게 없습니다. <br> <br>사고가 난 아파트인데요.<br> <br>붕괴 된 층에는 가림막이 쳐진 채 방치돼 있습니다.<br><br>한순간에 사랑하는 가족을 잃은 유족들, 건물을 볼때마다 그날의 악몽이 되살아 납니다. <br> <br>이태원 참사 같은 대형 사고 소식이 들릴 때마다 남일 같지 않습니다. <br> <br>[안정호 / 아이파크 희생자가족협의회 대표] <br>"여러 가지 사고들이 이슈화되고 하니까 그런 부분이 아무래도 저희는 동질감이나 빙의가 되거든요. 그런 사고들에 그래서 많이 힘들어 하세요." <br> <br>아파트 8동을 모두 철거하기로 했던 작업은 끝내 해를 넘겼습니다. <br> <br>붕괴된 건물에 대한 안정화 작업이 상당 기간 지연되면서 3월부터 시작될 예정입니다. <br> <br>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초대형 작업인 만큼 난항도 예상됩니다. <br> <br>[서구청 관계자] <br>"개체랑 바닥은 굴삭기로 앞에 할 거고요. 기둥이랑 코 부분은 DWS(다이아몬드 줄톱 공법)로 절단해서 인양하는 방법…." <br> <br>사고 이후 손님 발길이 뚝 끊긴 주변 상가. <br> <br>곳곳에 빈 점포라는 현수막이 붙었습니다. <br> <br>지난 1년 간 현장에서 날라온 먼지와 시멘트 가루에 고생했는데 향후 철거 공사도 걱정입니다. <br> <br>[선문규 / 붕괴 사고 피해 상인] <br>"시멘트 가루가 너무 떨어지다 보니까. 오신 분들이 물건을 실으러 가면 차가 덮여 있어요. 시멘트 가루가. 그러면 손님은 저희한테 화를 내요." <br> <br>현대산업개발 현장소장과 감리 등 20여 명에 대한 1심 재판이 진행중이고 재판 결과에 따라 현대산업개발에 대한 행정처분 수위도 결정됩니다. <br> <br>유가족들은 내일 사고 현장 앞에서 당시 영상과 기록을 되돌아보며 안전을 다짐하는 추모식을 엽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공국진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이기현 <br>영상편집 : 이혜진<br /><br /><br />공국진 기자 kh247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