물가가 가파르게 오르자 연초 특수를 기대했던 헬스장 영업도 큰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물가와 헬스장, 둘 사이에 무슨 관계가 있을까, 궁금해하는 분들도 계실 텐데요. <br /> <br />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 기자와 함께 얘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. 윤성훈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서울 영등포동에 있는 헬스장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평일이라 더 그럴 것 같은데 운동하는 사람들이 많지는 않은 거 같아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곳곳에서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눈에 띄기는 하지만, 다소 한산한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아침 7시쯤 나와 살펴봤는데 하루를 시작하기 전 헬스장에서 운동을 하려는 사람들도 많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보통 새해 연초가 되면 운동을 다짐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헬스장도 붐비기 마련인데요. <br /> <br />올해는 그런 특수효과가 없는 셈입니다. <br /> <br />이곳을 이용하는 한 회원은 최근 경제 상황을 원인으로 꼽았습니다. <br /> <br />[정용익 / 서울 신길동 : 저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사람들이 예전에는 가격이 좀 높더라도 자기 지출 비용을 좀 썼는데 요즘에는 금리도 많이 오르고 그러다 보니까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….] <br /> <br />실제 이곳의 회원 수는 지난해 1월보다 30%가량 줄어들었다고 하는데요, <br /> <br />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기 전인 지난해 1월보다도 사람들이 줄어든 건 두 가지 영향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우선 고금리 여파입니다. <br /> <br />금리가 가파르게 오르자 헬스장과 카드사들이 맺고 있던 제휴 범위가 줄어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 이곳도 회원들에게 제공하던 무이자 할부 기간이 단축됐고, 소비자들 입장에선 상대적으로 목돈을 내야하는 만큼 선뜻 헬스장을 등록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또, 고물가 상황 역시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게 만든 원인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통계청에서 발표한 지난해 소비자물가지수는 107.71, 1년 새 5.1%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외환위기 때인 1998년 이후 최대 상승 폭을 기록하면서 소비자들도 여가 활동 씀씀이를 줄이는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헬스장 입장에선 손님이 줄어든 것도 문제이지만, 공공요금 인상 역시 걱정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소비자물가지수 상품부문에서 전기·가스·수도 전체는 12.6% 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헬스장을 운영하기 위해선 샤워시설부터 난방, 운동기기 등을 가동해야 하는데요, <br /> <br />공공요금이 오르는 만큼, 운영 부담도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도 전기와 가스요금, 상... (중략)<br /><br />YTN 윤성훈 (ysh0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111095859004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