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우리 정부는 중국의 코로나 확산이 워낙 거세다보니 방역을 강화했던건데요.<br><br>이런 조치가 무색하게 구멍이 뚫렸습니다.<br> <br>중국발 장기체류자와 내국인에 대한 현황이 처음 공개됐는데, 검사 여부가 불확실한 사람이 7백 명이 넘고 29명은 행방불명입니다. <br><br>서주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<br><br>[기자]<br>지난 2일부터 7일까지 중국발 입국자는 모두 6390여명. <br> <br>이중 공항내 PCR 검사 대상인 단기체류자를 제외하고 거주지 인근 보건소에서 검사를 받아야하는 장기체류자와 내국인은 74%인 4749명에 달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이들 중 검사나 확진 여부가 확인 안 된 대상자가 779명입니다. <br> <br>특히 29명은 어디에 있는지 조차 파악이 안 되고 있습니다. <br><br>장기체류자와 내국인의 코로나 양성률은 18.6%, 5명 중 1명꼴로 확진된 셈인데 관리 허점이 드러난 겁니다. <br> <br>나머지 750명 중에도 이런 행방불명자가 추가로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. <br> <br>[임숙영 /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] <br>"일자에 따라서 검사가 완료된 입국자들이 있고 아직까지 검사가 진행 중인 입국자들이 있어서…" <br> <br>각 보건소에선 담당 검사 대상자를 찾기 위해 다른 지자체에 공문까지 보내며 추적 중입니다. <br> <br>[A보건소 직원] <br>"할 수 있는 거를 다 했는데 안되니까, 해당 지자체에서 만약에 이런 사람을 발견하거나 알게 되면 연락을 주시라 하면서…" <br> <br>[B보건소 직원] <br>"이미 지자체에 넘어온 상태에서는 관리가 좀 어려울 수도 있는 건데, 입국 때부터 차라리 관리를 하면…" <br> <br>방역조치 강화 첫날부터 벌어진 질병관리청의 방역관리시스템 먹통 사태가 중국발 입국 장기체류자와 내국인에 대한 방역 관리 부실로 번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서주희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이혜진<br /><br /><br />서주희 기자 juicy12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