中 비자중단에 "불안한 신호"…여행업 등 이미 타격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중국이 우리나라의 코로나 방역강화에 대한 사실상의 보복조치로 단기 비자 발급을 중단하자 현지 공장 등이 있는 기업들이 행여나 사태가 길어지진 않을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수를 기대했던 여행사, 면세점은 다시 근심에 휩싸였습니다.<br /><br />최덕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반도체, 자동차, 건설업 등 중국에 생산시설과 현장을 둔 기업들은 당장 업무에 차질을 빚을 상황까지는 아니라고 말합니다.<br /><br />파견직원 대부분은 단기비자가 아닌 취업비자를 발급받은데다, 3년 가까이 이어진 방역규제 학습효과로 화상회의 체제 구축과 주재원 교체 등이 이뤄졌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, 악영향을 완전히 피해갈 곳은 없습니다.<br /><br />당장 생산시설 점검·영업 등을 위한 수시 방문이 사실상 막혔는데, 기업들은 '불안한 신호'라고 우려합니다.<br /><br /> "지금 코로나도 거의 풀렸잖아요? (우리 쪽에서는) 얼굴 보는 게 낫다고 판단을 할 거고…못 들어가게 하니까 그것도 깜깜하겠죠."<br /><br />단체여행 등 중국행 상품 판매가 중단되면서, 여행 제한령 해제에 기대를 걸었던 여행업계도 타격이 큽니다.<br /><br /> "중국 관광객들 늘어난다고 주가가 오르락내리락 하는 것 자체가…차츰차츰 열릴 거라고 보고 있고요…"<br /><br />중국인 수요 비중이 큰 면세점과 화장품 업계, 중국 수출이 주력인 중소기업 등도 걱정이 아닐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 "서로 간의 이동과 소통이 원활하게 돼서 경제나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됐으면 하는 것이 바람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."<br /><br />중국의 이번 조치가 예상 가능한 수순이었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, 장기적 관점에서 '코로나 이후' 경제 관계 회복을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. (DJY@yna.co.kr)<br /><br />#중국 #코로나 #단기비자 #산업계 #여행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