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韓日 때리고 美엔 러브콜...中 '차별적 보복' 기준은? / YTN

2023-01-12 925 Dailymotion

중국은 한국과 일본을 표적 삼아 단기 비자 발급을 중단한 지 하루 만에 '무비자 환승 관광'까지 배제하는 추가 보복 조치를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, 그동안 입국 제한 문제로 날을 세워 온 미국엔 코로나19 이후 끊겼던 항공편 운행 정상화를 환영한다며 '러브콜'을 보냈습니다. <br /> <br />과연, 중국의 속셈이 무엇인지 현지 연결해서 들어봅니다. 강정규 특파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베이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중국이 불만으로 내세워 온 게 차별적 입국 제한 조치인데, 정작 자신들이 선별적 보복 조치를 하고 있는 것 같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중국 민항국이 미국과 항공편 운행 정상화를 환영한다는 메시지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원론적 입장이었지만, 때가 때이니 만큼 관심 끌었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미국은 중국의 불투명한 역학 정보와 신종 변이 출현 가능성 등에 우려를 제기하며 중국발 입국 문턱을 올렸죠. <br /> <br />이에 맞서 중국은 미국을 XBB 변이의 진원지로 지목하며 역공세를 폈습니다. <br /> <br />방역적 측면에선 충분히 맞대응 할 수 있는 명분을 쌓은 셈인데요. <br /> <br />이웃 나라인 한일 양국에 이틀 연속 보복 조치를 내리고, 반대로 미국엔 '러브콜'을 보냈다는 게 의아하죠. <br /> <br />이를 두고, 전형적으로 강자엔 약한 모습이다, 한미일 갈라치기다, 여러 해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중국발 입국 제한 조치에서 미국과 한국의 차이가 있다면 우리는 PCR 검사 의무화 조치에 더해 단기 비자 발급과 항공편 증편 논의 중단 등을 추가한 점입니다. <br /> <br />해외 입국을 전면 차단한 모로코, 북한 같은 예외적 사례 빼면 주요국 가운데 중국인에 대한 비자 제한 조치를 내린 건 사실상 우리나라 뿐인데요. <br /> <br />중국이 우리나라에 비자 발급 보복 조치에 나서면서 차별적 입국 제한에 대한 상응 조치라고 주장한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런데 중국이 우리나라와 함께 일본도 걸고 넘어지면서 '상응 조치'의 기준이 불분명해졌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일본도 중국발 입국자들의 PCR 검사를 의무화했지만, 비자 발급을 제한하진 않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오히려 작년 10월, 코로나19 발병 이후 시행해 온 비자 제한 조치를 모두 풀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도 중국은 일본에 대해 외교와 공무 예우 이외의 모든 일반 비자 발급을 중단시켰습니다. <br /> <br />오히려 우리나라 보다 더 강력한 보복 조치를 내린 셈입니다. <br /> <br />일본이 '상호주의'와 '비례성'에 어긋난다며 반발하는 이유인데요. <br /> <br />중국이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강정규 (liv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112160955026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