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그런가하면 미국 금리는 속도 조절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미국 물가가 드디어 잡히고 있어서 그런 건데요. <br> <br>코로나 유행 이후 처음으로 소비자물가지수가 한달 전보다 떨어졌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이은후 특파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지난달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달보다 0.1% 하락했습니다. <br> <br>물가지수가 하락한 건 코로나19 유행 초기인 2020년 4월 이후 처음입니다. <br> <br>전년 같은 달보다는 6.5% 올랐는데, 이 역시 14개월만에 최소폭입니다. <br> <br>지난해 6월 9.1%까지 치솟았다가 6개월 연속 둔화됐고, 결국 6% 중반대까지 내려온 겁니다. <br><br>미국 노동부는 휘발유 가격이 9% 넘게 떨어진 게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] <br>"세계 거시 경제에서 인플레이션이 계속되지만 미국에선 다달이 하락하고 있고, 가정에 숨 쉴 여지를 줍니다." <br> <br>미국 물가 상승이 정점을 지났다는 평이 나오면서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완화될 거란 기대감도 나옵니다. <br> <br>물가 상승을 누르기 위해 최근 4차례의 자이언트 스텝, 1차례의 빅 스텝을 단행했던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를 인하할 명분이 생겼기 때문입니다. <br><br>[사미어 사마나 / 웰스파고 수석 글로벌 시장 전략가] <br>"연준은 금리 인상을 0.75%p(자이언트 스텝)나 0.5%p(빅 스텝) 말고 0.25%p(베이비 스텝)로 하기 시작할 겁니다. 연말엔 기준금리 인하를 전망합니다." <br> <br>이럴 경우, 우리나라도 미국 보조에 맞춰 금리 인상폭을 완화할 여지가 생길 거란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다만 여전히 고공행진 중인 집세와 임금 등이 물가 안정와 금리 완화에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. <br> <br>연준은 오는 31일부터 이틀간 회의를 열고 새해 첫 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합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이은후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정명환(VJ) <br>영상편집 : 이혜진 <br><br><br /><br /><br />이은후 기자 elephant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