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어제 우리 정부가 '제3자를 통한 변제'를 강제징용의 해법으로 처음 공식화했죠.<br> <br>야당과 피해자 단체 등은 '굴욕 외교'라면서 맹비난 했습니다. <br><br>일본은 우리 정부의 해법이 나쁘지 않다면서도, 구상권 포기 같은 선결 조건이 이뤄져야 한다며 신중한 반응도 보이고 있습니다.<br> <br>도쿄에서 김민지 특파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우리 정부가 '제3자를 통한 변제'를 해법으로 제기한 지 하루 만인 오늘 한일 외교 장관이 15분 간 전화 회담을 가졌습니다. <br> <br>일본 언론은 박진 외교부장관이 하야시 일본 외상에게 강제징용 해법에 대한 설명을 했다고 보도했습니다.<br> <br>방일 중인 정진석 한일의원연맹 회장도 기시다 내각의 2인자인 마쓰노 관방장관을 만났습니다. <br> <br>[정진석 / 한일의원연맹회장(국민의힘 비대위원장)] <br>"일본 측의 성의 있는 호응도 (필요하다고) 전달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" <br> <br>일본 정부는 한국의 해법이 현실적이라며 평가하면서도, <br> <br>[마쓰노 히로카즈 / 일본 관방장관(어제)] <br>"한일 관계를 건전한 형태로 되돌리고 더욱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한국 정부와 긴밀히 소통해 나가겠습니다." <br> <br>배상금을 일본 피고 기업에 요구하는 '구상권'을 포기하는 것을 선결 조건으로 내걸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> <br>일본의 한 소식통은 채널A에 "북한의 핵 무력 도발, 중국의 대만 침공 우려 등의 상황에서 일본 정부도 한국과 관계 개선이 필요하다는 데 동감한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다만, 전범 기업들은 별 다른 입장을 내지 않고 있고, 일본 정부도 고노 담화 등 과거 정부의 과거사 사과 발언 계승에 그치는 등 소극적인 호응 조치에 대한 우려가 나옵니다. <br> <br>강제 징용 문제 해결은 한일 관계 회복의 첫 단추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일각에서는 배상의 책임이 있는 일본 전범 기업들의 참여 없이 진정한 해결이 될지 우려도 나타납니다. <br> <br>도쿄에서 채널A 뉴스 김민지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박용준 <br>영상편집: 강 민<br /><br /><br />김민지 기자 mettymom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