더 커진 경기침체 우려…"상반기에 돈 더 풀 것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번 금리 인상으로 가뜩이나 무거운 기업과 개인의 빚 부담은 더 늘어나게 됐습니다.<br /><br />자연스럽게 경제 활력은 급속히 떨어질 수밖에 없고 침체 우려는 더 커졌는데요.<br /><br />정부는 돈 가뭄이 예상되는 상반기에 재정을 집중적으로 풀겠다고 했습니다.<br /><br />이어서 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불과 1년 5개월 새 기준금리는 연 0.5%에서 3.5%로 7배가 됐습니다.<br /><br />대출금리가 기준금리 인상 폭만큼만 올랐다고 가정해도 늘어난 이자는 개인과 기업을 합쳐 64조원이 넘습니다.<br /><br />이자 부담이 커지면 가계는 물론, 돈 빌려 사업하는 기업들도 씀씀이를 줄이게 되고, 내수 경기는 가라앉을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높은 물가 탓에 돈줄을 조이는 건 전세계적 현상이라, 반도체를 비롯한 화학, 철강 등 수출에도 '빨간 불'이 켜진 지 오래입니다.<br /><br />그러다 보니 정부의 '경기 둔화 우려' 진단은 8개월째 이어지고 있는데 이달에는 그 진단이 한층 더 어두워졌습니다.<br /><br /> "내수 회복 속도가 완만해지고 수출 감소 및 경제 심리 부진이 이어지는 등 경기둔화 우려가 확대되는 모습입니다."<br /><br />한은은 우리나라 올해 성장률이 지난해 11월 전망치인 1.7%를 밑돌 가능성을 우려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대내외 경기 상황이 모두 불확실한 상반기가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<br /><br />이 '보릿고개'를 넘기 위해 정부는 일단 올해 예산 638조7,000억원 중 상당액을 최대한 빨리 풀 계획입니다.<br /><br /> "역대 최고 수준인 65% 상반기 신속집행 목표하에 1분기 집행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추진하는 한편, 모든 수단을 총동원하여 상반기 집행 규모를 확대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경기 침체의 한파가 서민들의 옷깃을 파고들자 정부는 지자체의 공공요금 인상 자제도 요청했는데 지금까지 떠안은 적자를 고려하면 인상 압박을 언제까지 감당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<br /><br />#경기침체 #금리 #빚 #재정 #추경호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