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일주일도 채 남지 않은 설 앞두고 선물 고민 하실 텐데요. <br> <br>마음은 가득한데, 비용이 걸림돌이죠. <br> <br>고물가에 실속 있고, 저렴한 선물이 잘 팔린다고 합니다. <br> <br>김승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설 선물세트를 사려는 사람들로 북적이는 대형마트. <br> <br>5만 원 아래 실속 선물세트가 눈에 많이 띕니다. <br> <br>12개 사과 한 상자가 2만 9900원, 김 세트는 1만 원이 안 됩니다. <br> <br>고물가 여파에 조금이라도 저렴한 선물을 찾는 알뜰 소비족을 겨냥한 겁니다. <br> <br>[강나리 / 서울 은평구] <br>"몇 플러스 원 이렇게 주는 걸로 보고 있고 5만 원대 이하…. 가성비 좋은 선물 세트로만 지금 보고 있긴 한데, (선물할) 인원이 좀 많아서 여러 명이 나눠 먹을 수 있게 잘 나누어져 있는 한과나 견과류 이런 것 좀 보고 있어요." <br><br>[설 선물세트 구매자] <br>"주로 통조림이 가격이 싼 것 같아서 보고 있어요. 아홉 사람한테 보내야되는데 좀 부담이 많이 가서 가격을 좀 낮춰서…." <br><br>지난해 10만 원을 훌쩍 넘던 한우 세트 가격도 저렴해졌습니다. <br> <br>9만 9천 원 한우세트까지 등장했는데요.<br> <br>이번 설은 저렴한 상품을 선호하는 소비자를 겨냥해 이렇게 가격을 낮춘 제품이 지난해보다 30% 넘게 더 팔렸습니다." <br><br>지난 설과 비교해도 호주·미국산 소고기 세트 판매량은 3배 이상, 3만 원대 사과와 배 세트는 50% 이상 늘었습니다.<br> <br>또 다른 대형마트도 실속 선물세트 매출이 지난해보다 45% 넘게 늘었고, 전체 설 선물세트의 70%를 5만 원 이하의 제품으로 준비한 곳도 있습니다.<br><br>한 온라인 쇼핑몰도 10만 원 아래 제품 비중이 80%로 작년보다 18%p 늘었습니다.<br> <br>경제 상황에 따라 설 선물 트렌드도 변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승희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이락균 <br>영상편집: 배시열<br /><br /><br />김승희 기자 sooni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