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분양 시장의 바로미터라 했던 서울 둔촌주공 재건축 단지 계약률이 나왔는데, 70%를 채우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 분양 직전 정부가 여러 규제를 풀어줬지만 우려했던 대규모 미계약 사태가 발생한 겁니다.<br> <br>안건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국내 최대 규모 재건축 단지로 4700여 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으로 풀린 둔촌주공. <br> <br>어제 청약 당첨자의 계약이 끝났습니다. <br> <br>시공단 측은 계약률이 70%에 육박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시공사업단 관계자] <br>"계약률은 70%에 근접한 상황입니다. 예비당첨자 계약까지 더해지면 90% 계약률은 무난할 것으로 예상합니다." <br> <br>부동산 시장 한파에 맞은 편 주방이 들여다보이는 주방뷰 논란까지 겹치면서 둔촌주공의 지난달 청약 최종 경쟁률이 5.5 대 1에 그쳤습니다. <br> <br>초기 계약률이 40%에 그칠 거란 비관론이 팽배했는데 "예상보다는 선방했다"는 게 시공단의 설명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둔촌주공 미계약 물량은 어림잡아 1400가구. <br> <br>둔촌주공의 미분양 충격을 의식한 정부가 중도금 대출에 전매제한 규제까지 다 풀어 '맞춤형 혜택'을 줬는데도 완판에는 실패한 겁니다. <br> <br>둔촌주공은 이제 예비당첨자와 계약해야 하는데, 여기서 다 팔리지 않으면 '줍줍'이라 불리는 무순위 청약까지 가야 합니다. <br> <br>문제는 앞으로 나올 단지들입니다. <br> <br>서울 강남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전역에서 분양가상한제가 사라지며 앞으로 분양에 나설 단지는 고금리와 원자잿값 상승을 분양가에 반영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권대중 /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] <br>"다소 높은 가격에 분양할 가능성이 높고요. 금리가 높은 상태에서 수분양자들이 선뜻 나서지 않으면 미분양이 발생·증가할 가능성도 있습니다." <br> <br>입지와 분양가에 따라 청약시장의 양극화가 더 심해질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채희재 <br>영상편집: 형새봄<br /><br /><br />안건우 기자 srv1954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