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경찰대 출신' 인사편중 심각…총경 요직 '독식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경찰내 경찰대 출신 인사 편중이 여전히 심각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경찰청과 서울경찰청 총경급 이상의 약 70%가 경찰대 출신인데요.<br /><br />균형있는 인사와 함께 경찰대 개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홍정원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여름, 경찰국 설치에 반대하는 전국 총경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.<br /><br />참석자 대다수가 경찰대 출신으로 알려지면서 '조직적 반발'이 아니냐는 우려를 샀습니다.<br /><br /> "그런 모임을 주도하는 특정 그룹이 있다는 것입니다. 그것을 저희는 굉장히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입니다."<br /><br />지난해 출범한 경찰국은 경찰대 인사 편중 문제를 주요 개혁 과제로 삼고 있지만, 상황은 여전히 녹록치 않습니다.<br /><br /> "(사실상 경찰대 출신이 경찰을 지배하고 있다. 아십니까? 데이터니까.)네. 일정부분…."<br /><br />실제 '경찰의 꽃'으로 불리는 총경 자리의 60% 가량은 경찰대 출신이 차지하고 있는 상태입니다.<br /><br /> "총경 계급은 대략 600명 내외 정도 됩니다. 그중에 소위 말하는 일반 출신, 순경 출신이 대략 한 20% 남짓 되고요."<br /><br />주요 승진 경로인 경찰청과 서울경찰청의 요직도 마찬가지로, 총경 이상 지휘부 총 168자리 중 115자리가 경찰대 출신이었습니다.<br /><br />경찰대가 사실상 조직내 인사권을 틀어쥐고 '선후배 챙기기'를 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경찰국 출범 후 첫 승진 인사에서 비경찰대 출신이 약진했지만, 아직 갈 길이 멀다는 평가입니다.<br /><br /> "열심히 하는 사람은 출발시점이 어딘가에 상관없이 공정하게 승진 기회를 부여하겠다…."<br /><br />'경찰대 인사 편중'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균형있는 인사와 함께 경찰대 정원 축소, 입직계급 하향 등 경찰대 자체에 대한 개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홍정원입니다. (zizou@yna.co.kr)<br /><br />#경찰 #경찰대 #총경 #인사편중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