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'아랍에미리트의 적은 이란'이라는,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, 우리 정부가 진화에 나섰지만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.<br> <br> 어젠 이란이 우리 대사를 불러들인데 이어, 오늘은 우리가 이란 대사를 외교부로 불러들였습니다.<br> <br> 이런걸 외교용어로 '초치'라고 하는데, 하룻새 양국이 맞초치하는 상황입니다. <br> <br>김윤수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 외교부가 사이드 바담치 샤베스타리 주한이란대사를 공식 초치한 것은 2년 전 우리 선박이 이란에서 나포된 이후 처음입니다. <br> <br> 우리 정부는 "아랍에미리트의 적은 이란"이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순방 중 발언에 대해 1시간 정도 우리 입장을 설명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임수석 / 외교부 대변인] <br>"(UAE) 우리 장병들에 대한 격려 차원의 말씀이었고 한국 이란 관계 등 이란의 국제관계와는 전혀 무관합니다."<br> <br> 이번 초치는 윤 대통령 발언에 대해 항의하기 위해 어제 윤강현 주이란 대사를 초치한 이란 외무부에 대한 맞불 대응으로 해석됩니다. <br> <br> 특히 이란 측은 풀리지 않고 있는 양국 현안도 다시 꺼내 우리를 압박했습니다. <br><br> 이란에 대한 미국의 제재로 우리 시중은행이 동결하고 있는 70억 달러를 윤 대사 앞에서 언급하며 "조치를 하지 않으면 양국 관계를 재검토할 수 있다"고 강조한 겁니다.<br> <br> 2년 전 우리 선박이 나포된 사건의 원인 가운데 하나도 이란 자금 동결이 꼽힙니다. <br> <br>[알리 라비에이 / 이란 정부 대변인 (지난 2021년)] <br>"만약 누군가가 인질범이 돼야 한다면 우리 자금 70억 달러를 근거 없는 구실로 동결한 한국 정부일 것입니다." <br> <br> 히잡 시위로 국제적 지탄을 받고 있는 이란이 여론을 전환하기 위해 윤 대통령의 발언을 활용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 우리 정부 관계자는 "양국 관계가 특별히 악화한 건 아니라고 본다"며 외교 분쟁 가능성에 대해 일축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윤수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이혜진<br /><br /><br />김윤수 기자 ys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