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지금부터 위기의 소아 의료 실태를 전해드립니다.<br><br>소아진료 전문의도, 진료 받을 병원도 사라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고된 업무, 또 낮은 수가에 소송 걱정까지 꺼릴 수 밖에 없는 이유 한두가지가 아니라는데요. <br> <br>먼저, 최근 3년 동안 전문의 지원이 한 명도 없었다는 대학병원의 소아흉부외과 수술 현장을 김용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소아흉부외과 김웅한 교수가 꼼꼼이 수술을 준비합니다. <br> <br>오늘은 선천성 심장 기형 아기에게 심장벽을 만들어주는 수술입니다. <br> <br>서로의 숨소리를 공유할만큼 긴장이 감돈 수술은 꼬박 5시간 동안 이어집니다. <br> <br>이런 소아 심장병 수술이 이 병원에서만 매년 4백 건 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앞으로도 이게 가능할진 의문입니다. <br> <br>최근 3년 간 소아흉부외과에 지원한 전문의가 단 한명도 없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김웅한 / 서울대병원 소아흉부외과 교수] <br>"(지원자가 없고 사람이 없으면) 사실은 끝이라는 게 뭐 뻔하니까. 그게 이제 어디까지 갈 수 있을지" <br> <br>어린 환자일수록 시시각각 상태가 변하기 때문에 수술 후에도 장시간 대기해야 하는 고된 업무에, 소아 흉부외과는 대표적인 기피 과로 꼽힙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(전화음) "잠깐만요 네 여보세요. 어 그래 그래 그래 알았다 그래." 이렇게 수시로 연락이 와요. <br> <br>기대 수명이 긴 어린이 환자 특성상 기대 이하의 수술 결과가 나올 경우 소송 청구액이 다른 과에 비해 큰 것도 부담입니다. <br> <br>[김웅한 / 서울대병원 소아흉부외과 교수] <br>"소송 걸면 단위가 10억~20억 이렇게 나옵니다. 모든 게, 사실은 이제 기피 할 수밖에 없는 그런 여건이 되는거죠." <br> <br>소아 심장 수술을 할 수 있는 전문의가 전국에 15명 뿐인 것도 이런 현실이 반영된 결과입니다. <br> <br>그마저도 대부분 수도권 병원에 재직 중인데 10년 내 은퇴를 앞두고 있습니다. <br> <br>[이창하 / 부천세종병원 흉부외과 부장] <br>"제주도 같은 경우 저희 쪽으로도 와서 수술받기도 하는 아이들이 있는데, 급하게 와야 되는 애들인데 그러면 그거는 정말 위험한 거죠." <br> <br>낮은 수가와 열악한 환경에 기피 과가 되고. 남은 사람들에게 업무가 가중되는 악순환이 반복됩니다. <br> <br>[이벗님 / 선천성 심장병 환아 부모] <br>"(아이가) 성인이 되고 나서도 소아심장외과 교수님을 봬야하거든요,교수님들이 아예 안 계시면 어떡하지 이런 걱정이 되더라고요" <br> <br>아이가 아파도 발만 동동 구르는 상황이 곧 닥칠 수도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용성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이호영 이기상 <br>영상편집: 강 민<br><br>▶관련기사 보기 <br>의사 없어 낮 진료는 휴진…“정원 확대” vs “처우 개선” <br>http://www.ichannela.com/news/main/news_detailPage.do?publishId=000000331523<br><br /><br /><br />김용성 기자 drago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