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런 상황에서 지역 거점 병원의 소아청소년과 현실은 더 심각합니다.<br> <br>의사 숫자가 부족해서 야간 진료만 해야할 정돕니다.<br> <br>공공의료의 위기실태를 서상희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충남의 공공병원 서산의료원입니다. 이곳의 소아청소년과는 밤에만 문을 연다는데요. 무슨 사연인지 직접 찾아가봤습니다.<br> <br>저녁 7시 30분, 아기 부모가 다급히 병원을 찾습니다. <br> <br>밤에 갈수 있는 병원이 없다보니 태안에서 서산까지 차로 20분 넘게 달려왔습니다. <br><br>[아이 보호자] <br>"태안에서 아기 아팠다 싶으면 야간에 다 여기로 올 거예요. <br>(없으면 안 되는?) 그렇죠. 그나마 여기가 있으니까 다행이죠." <br> <br>이곳의 영유아 진료센터는 저녁 7시에 문을 엽니다. <br> <br>새벽 5시까지 낮밤이 바뀐채 아이들을 돌봅니다. <br> <br>소아청소년과 의사를 못 구해 주간 진료는 1년 째 휴진 중. <br> <br>더 급한 야간 진료만 제한적으로 하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이마저도 없으면 1시간 이상 차를 타고 나가야 합니다. <br> <br>[이정진 / 서산의료원 소아청소년과 전문의] <br>"(야간에는) 영유아 환자나 응급 환자가 생겼을 때 갈 수 있는 병원이 1시간 이상 가야 합니다. 천안이나 대전, 동탄, 서울…"<br> <br>수도권 공공병원 상황도 다르지 않습니다. <br> <br>인천의료원은 1년 넘게 호흡기내과와 신장내과 진료를 못하고 있습니다, <br> <br>의사가 없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조승연 / 인천의료원장] <br>"(순환기내과) 선생님들은 한 2년 정도 자리에 없어서 근처 대학병원에서 일주일에 한 번 정도 나와서 지금 외래를 봐주고 계세요." <br> <br>정부는 18년째 동결한 의대 정원 확대를 검토 중입니다. <br> <br>대한의사협회는 정원 확대가 아니라 환경과 처우 개선이 먼저라고 맞섭니다. <br> <br>[김이연 / 대한의사협회 홍보이사] <br>"환경이 개선이 되어야지 좋은 의료진, 사명감을 가진 의료진이 <br>공공의료기관으로 들어가서 장기간 지역에서 활동을 하실 때 공공의료 수준이 높아질 거라고…" <br> <br>의사가 부족하든 처우가 열악하든 현주소는 공공의료 위기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서상희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이준희 <br>영상편집 :이태희<br><br>▶관련기사 보기 <br>3년간 소아흉부 지원자 ‘0명’…“수술 받으려 제주서 와요”<br>http://www.ichannela.com/news/main/news_detailPage.do?publishId=000000331522<br><br /><br /><br />서상희 기자 with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