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9년 동안이나 대중교통 아닌 일반 차량은 다닐 수 없던 곳, 서울 신촌 대학가인 연세로입니다.<br> <br>그런데, 오늘부터 한시적이지만 일반 차량도 다닐 수 있도록 했습니다.<br> <br>어떻게 달라졌을까요?<br> <br>김민환 기자가 다녀왔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서울 유일의 대중교통전용지구였던 연세로. <br> <br>여름철 물총 축제와 주말 공연으로 가득했던 길이 달라졌습니다.<br><br>지난 9년 동안 이곳 연세로에는 버스만 통행할 수 있었는데요. <br> <br>오늘부터는 이렇게 일반 차량들도 다닐 수 있도록 제한이 풀렸습니다.<br> <br>침체된 상권을 살리겠다는 게 가장 큰 이유입니다. <br> <br>실제 거리를 둘러보니 비어있는 가게들이 보입니다. <br><br>신촌 상권의 3년 생존율은 50%에 그쳐 다른 대학 상권보다 낮습니다.<br><br>서대문구는 주말과 공휴일 시간당 1천 원대 요금으로 연세대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유인책도 내놨습니다. <br><br>차량 통행이 재개되면서 상인들은 상권 활성화에 대한 기대가 큽니다. <br><br>[신창홍 / 신촌 상인] <br>"일단 숨통은 놓였죠. 신촌에 있는 공실들이 조금 해소되지 않을까 싶은…" <br> <br>일부 학생들과 시민단체의 반대 목소리도 여전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연세로 차량 통행 규탄한다. 연세로 지켜내자." <br> <br>차 없는 거리 해제에 반대한다는 현수막이 내걸렸고, 보행권 침해를 규탄하는 집회도 열렸습니다. <br> <br>[이수진 / 연세대 대학원생] <br>"도로를 건널 때도 건널목이 횡단보도가 많이 있지 않아서 원래는 자유롭게 길을 가로지를 수 있었는데 이제는 그런 면에서 조금 불편해질 수 있지 않을까…" <br> <br>서울시는 통행제한 해제 이후 상점 매출과 유동인구 변화 등을 조사해 오는 9월 대중교통전용 지구 해제 여부를 최종 결정합니다. <br> <br>차량 통행을 놓고 보행권과 생존권을 주장하는 양측간의 갈등은 한동안 이어질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민환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박연수 최혁철 <br>영상편집 : 이혜진<br /><br /><br />김민환 기자 kmh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