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얼마 전 북한에서 내려온 무인기 때문에 한바탕 홍역을 겪었죠. <br> <br>그런데, 무인기를 띄우지 않고 구글의 위성사진 만으로도 이렇게 선명하게 김정은 위원장의 평양 집무실과 관저까지 볼 수 있었습니다. <br> <br>김 위원장의 등골이 오싹해졌을 듯한데요.<br><br>박수유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높은 담과 수풀들로 둘러싸인 주택. <br><br>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거주지로 알려진 15호 관저입니다. <br> <br>관저와 지하시설을 연결하는 건물은 물론, 또 다른 지하시설과의 연결 통로까지. <br><br>미국 구글이 제공하는 지도 프로그램 '구글 어스'로 선명히 보입니다. <br><br>이번에는 사각형 모양의 건물 세 개가 연결된 노동당 1호 청사가 보입니다. <br> <br>그 옆으로는 지하시설로 연결되는 터널 입구도 보입니다. <br><br>김 위원장은 2년 전인 2021년 정권 수립 73주년을 맞아 이 청사 정원에서 열린 연회 사진을 공개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이처럼 상업용 위성사진의 화질이 대폭 개선되고 일반인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 북한의 주요 시설들은 더 이상 보호받지 못하게 됐습니다. <br> <br>[이창진 / 건국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] <br>"한국이나 미국이 가진 위성영상 자산은 그것(구글어스)보다 정밀할 것이라고 보고요. 북한의 움직임을 훨씬 정밀하게 파악하고 있다." <br> <br>북한은 지난달 서울과 인천 일대 도심의 흑백 사진을 공개하면서 정찰 위성 개발을 위한 주요 시험을 했다고 밝혔지만 민간 위성사진에 비해서도 조악한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수유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유하영<br /><br /><br />박수유 기자 aporia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