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코로나 3년 참 길었습니다. <br> <br>바이러스의 정체를 몰랐을 때는 불안했고 예상보다 길어지자 지쳤죠. <br> <br>특히 갑갑한 마스크, 어느새 필수품이 됐는데요. <br> <br>마스크와 함께한 지난 3년의 우여곡절 서주희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[2020년 2월 '뉴스A'] <br>"마스크 사셨습니까. 병 예방하려고 마스크 사려다 병이 생기겠습니다." <br> <br>마트와 약국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긴 줄이 생겼습니다.<br> <br>의자와 돗자리, 담요까지. <br> <br>마스크 한 장 구하려 밤잠도 설쳤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 (지난 2020년 2월) ] <br>"주말에는 (마스크) 들어오지 않으니까, 오지 마세요" <br> <br>어딜 가든 매대는 텅 비어있고, 마스크를 찾아 헤매는 소위 마스크 낭인들도 등장했습니다. <br> <br>[김춘석 / 서울 성북구 (지난 2020년 3월)] <br>"어제 한 5군데 봤어요. 삼선동 약국하고 돈암동 약국하고 한 바퀴 돌았어요. (내일부터) 일주일 계속 못 사는 거 아니야." <br> <br>생산을 독려헤도 물량이 턱없이 부족하자 급기야 5부제까지 등장했습니다.<br> <br>[현장음 (지난 2020년 3월)] <br>"오늘이 아니에요, 아버님! 아버님은 목요일날 오셔야 합니다." <br> <br>이와중에 일부 비양심 판매자들은 사재기에 나서면서 수사기관이 나서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[2020년 3월 '뉴스A'] <br>"경찰은 이번에 확보된 마스크를 식약처를 통해 조속히 시중에 풀기로 했습니다." <br> <br>사건사고도 끊이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마스크를 쓰라는 권유에 공공장소에서 난동을 부리는가 하면 마스크를 쓰라고 했다고 택시기사를 폭행하는 사건이 심심치 않게 벌어졌습니다.<br> <br>[피해 택시기사 (지난 2021년 1월)] <br>"운전석 문을 당기면서 죽여버린다고, 빨리 내리라고. 야, 내려 내려. 죽여버릴 거야." <br> <br>'마스크 의무화' 시행 3년간 단속 건수는 30만 건이 넘고 이중 2천 5백건에 과태료가 부과됐습니다. <br><br>3년 만에 풀린 마스크 착용 의무, 마스크를 둘러싼 우여곡절도 이제 역사의 한 페이지로만 남게 됐습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서주희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정다은<br /><br /><br />서주희 기자 juicy12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