올해 1월은 미국으로 한인들이 노동 이민을 떠난 지 꼭 120주년을 맞는 달입니다. <br /> <br />1903년, 미국에 건너간 한인들은 먼 이국땅, 힘든 생활 속에도 김치를 만들어 먹으며 한민족 정체성을 지켜왔는데요. <br /> <br />YTN이 미국 한인 이주 120년을 기념해, 미국에 김치를 뿌리내리고 한국 문화를 알리고 있는 동포들의 모습을 특집 다큐멘터리로 담았습니다. <br /> <br />강현정 PD가 전해드립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903년 1월 13일, 긴 항해 끝에 한인 100여 명이 발을 디딘 하와이. <br /> <br />한민족 이민 120년 역사가 시작되는 순간입니다. <br /> <br />오로지 굶주림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동 이주를 택한 한인들. <br /> <br />종일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하며 궁핍하고 고단한 삶을 살면서도 놓지 않은 건 바로 '김치'였습니다. <br /> <br />[아만다 장/ 하와이 한인문화회관 위원장 : 배추가 없었기 때문에 미국에서 흔히 찾을 수 있는 양배추라든지 양상추나 상추를 김치 대용으로 만들어서 먹었다고 하고요.] <br /> <br />[장해춘/ 세계김치연구소 소장 : 1900년대 하와이 사탕수수밭에서 일하는 노동자의 그 이주민들이 열악한 환경 아래에서 고국을 그리는 마음에서부터 그들이 그냥 제대로 된 김치의 원부재료가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 김치를 담가 먹는….] <br /> <br />자급자족을 위해 만들었던 김치를 차츰 주변 아시아계 이주민에게 판매하며 독립자금에도 보탰고, <br /> <br />하와이의 김치는 결국, 미국 김치 산업의 모태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[이덕희/ 하와이 한인이민연구소장 : 1세들이 사실은 김치를 시작 만들어 먹는 거는 집에서 만들어 먹는 거는 뭐 옛날부터 다 했지만, 이걸 상업적으로 시작한 게 우리 하와이가 시작을 했다고 저는 봅니다.] <br /> <br />120년, 한인들이 미국에 뿌리내리며 살아가는 동안 한민족의 김치도 자리를 잡아갔습니다. <br /> <br />세월이 흘러, 한국 문화가 '한류'라는 이름으로 전 세계에 널리 퍼지면서, <br /> <br />미국의 동포들은 김치의 우수성과 맛을 알리기 위해 김치 나눔 축제나 김장 체험 등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윤영실 / K-김치세계연대 워싱턴위원회 위원장 : 김치는 정말 우리 한국의 고유 음식이라는 걸 더 전파하게 됐고.] <br /> <br />[권세중/ 워싱턴 총영사 : 김치라는 것은 김치를 나누고 이웃이 함께하는 연대의 정신이 있습니다. 그래서 음식을 나누면서 같이 함께 공유하고 얘기도 많이 나누는 행사를 하게 된 것이 굉장히 의의가 있다고 보고요.] <br /> <br />이런 노력 끝에,... (중략)<br /><br />YTN 강현정 (jw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121012317474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