회나 초밥 등에 쓰는 연어는 대부분 '대서양 연어'로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국내에서도 '대서양 연어' 육상 양식 기술 개발과 함께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송세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대형 수조 안에 손바닥만 한 물고기들이 가득합니다. <br /> <br />강원도 연구진이 아이슬란드에서 수입한 알에서 인공 부화한 '대서양 연어'들입니다. <br /> <br />1년 동안 민물에서 기른 어린 연어 2천여 마리를 바닷물에서 키우기 위해 고성 앞바다 연구센터로 옮겨온 겁니다. <br /> <br />어린 연어들의 몸길이는 현재 25cm 안팎입니다. 바닷물 육상 양식을 통해 성어 기준인 60cm 이상 키우는 게 목표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수질과 염도 등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육상형 순환 여과 양식으로 수온 상승과 생태계 교란 등 바다 양식의 한계를 보완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서양 연어 양식 산업화를 위한 움직임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내년까지 민간 기업이 강원도 양양에 2천억 원을 들여 대규모 육상 양식장을 만들 예정이고 인근에 연구 개발 단지도 들어섭니다. <br /> <br />계획대로라면 2025년 하반기쯤부터 국내에서 키운 대서양 연어가 식탁에 오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인기 횟감으로 한 해 소비량이 6만 톤을 넘었지만, 전량 수입에 의존해온 대서양 연어를 국내산으로 대체할 길이 열리는 겁니다. <br /> <br />[박진철 / 강원도 한해성수산자원센터 연구사 : 담수 양식부터 해수 양식까지 전 주기에 걸쳐서 사육 기술을 확립한 상태에서 이후에는 재생산까지 해서 알부터 다시 받아서 완전 양식 기술을 개발하고….] <br /> <br />대서양 연어 육상 양식이 본격화하면 수출을 통해 60조 원 규모로 추산되는 세계 연어 시장 공략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YTN 송세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송세혁 (shsong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0121021131110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