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에서는 우리와 마찬가지로 음력설도 명절인데요. <br /> <br />다만 우리와 달리 음력설보다는 양력설을 우선시하는 등 비슷하면서도 다른 점이 적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최두희 기자가 소개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원래 음력 설을 쇠지 않았던 북한. <br /> <br />김일성 주석이 봉건 잔재로 규정해 지난 1967년 양력설만 빼고 민속명절을 모두 없애버렸기 때문인데 1989년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우수한 전통을 계승하자며 부활시켜 음력설을 연휴로 만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2003년부터는 북한에서도 음력설 전후로 사흘간 쉴 수 있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음력설날 우리처럼 명절 음식을 만들어 먹고 떡국을 먹으면서 나이 한 살 더 먹는 문화는 비슷합니다. <br /> <br />윷놀이, 제기차기와 같은 민속놀이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우리와 달리 북한에서 음력설은 여전히 양력설보다는 뒷전입니다. <br /> <br />[조한범 /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: (북한은) 우리와 다르게 세배도 양력설에 하는 편이고 음력설은 편히 쉬는 양상을 보이고 있죠. 우리가 음력설 중심이라면 북한은 양력설 중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북한 당국도 음력설보다 양력설인 1월 1일에 대규모 공연을 펼치며 새해맞이 분위기를 띄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조선중앙TV (지난 2일) : (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) 온 나라 학생들이 충성의 마음을 담아 삼가 새해의 설 인사를 드렸습니다. (우리나라 설날은요.)] <br /> <br />이동의 자유가 제한된 탓에 우리처럼 고향으로 향하는 귀성 행렬과 같은 민족 대이동도 없습니다. <br /> <br />여전히 북한에서 가장 큰 명절은 김일성 생일인 4월 15일 '태양절'과 김정일 생일인 2월 16일 '광명성절'입니다 <br /> <br />YTN 최두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두희 (dh022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012105264599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