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작심삼일'은 인간의 본능...새해 계획 잘 지키려면? / YTN

2023-01-20 1 Dailymotion

새해 들어 금연이나 운동 같은 새해 계획을 세운 분들 많을 겁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우리 몸은 작심삼일에 최적화 돼 있어, 작심삼일로 끝나지 않으려면 오히려 작심삼일을 반복해서 하면 된다고 하는데요. <br /> <br />어떤 의미인지 김평정 기자가 알려드립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새해가 되면 누구나 계획 하나는 세우곤 합니다. <br /> <br />[박신애 서울 방학동 : 작년에 너무 제 자신을 좀 돌보지 않은 것 같아서 건강을 좀 챙기고 싶어요. 그래서 집에 있는 운동기구 좀 방치되어 있던 게 있었는데 그거 좀 활용하면서 규칙적으로 하루에 한 시간 정도는 투자해서….] <br /> <br />그러나 한 주 두 주 지나는 동안 의지는 약해지고 계획은 흐지부지되는 경우도 많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작심삼일은 뇌과학 관점에선 당연한 현상입니다. <br /> <br />뇌가 한 번에 다룰 수 있는 정보는 다섯 개에서 아홉 개 정도인데 새해 결심으로 새로운 정보가 추가되면 뇌에 과부하가 일어날 수 있어 포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스트레스를 이기게 해주는 부신피질의 방어 호르몬인 아드레날린과 코르티솔의 한계 시간이 72시간이란 점을 들어 계획을 세워도 사흘 정도 지나면 그만두고 싶어진다는 설명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작심삼일의 위기를 극복하려면 변화된 행동을 계속 반복해 습관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. <br /> <br />만약 운동을 목표로 세웠다면 매일 30분씩 빠르게 걷기를 사흘 동안 해보자는 식으로 구체적인 방법을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잘 실천했다면 그다음엔 40분씩 하는 식으로 강도를 점차 올려가면 됩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석 달 정도 실행하면 몸에 익은 습관이 되는데 그 과정에 주변 사람들의 역할도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[이병철 한림대한강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: 내가 이룬 작은 성과에 대해서 스스로 뭔가 대견하게 생각하거나 스스로 보상하는 것들 그리고 주변 사람들이 그런 것들을 이루었을 때 관심을 가지고 계속 인정해 주는 것들 이런 것들이 사실은 어떻게 보면 우리가 연초에 마음먹은 것들을 끝까지 마무리하는 데 굉장히 큰 동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계획을 잘 이행하면 본인 스스로 선물을 하는 식의 보상 체계를 갖춰놓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. <br /> <br />또, 처음에는 비교적 쉽게 달성할 수 있는 계획을 잡고 차근차근 성취감을 쌓아가면 더 어려운 과제도 훨씬 수월하게 도전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평정입니다. <br />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평정 (pyung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121060016193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