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설이라 고향은 가야겠는데, 자식 같은 반려 동물은 데리고 갈 형편이 안돼서 고민인 분들 많으실 겁니다.<br><br>반려동물 전용 호텔이나 펫시터 서비스가 있긴 한데 이미 만실에 예약도 꽉 찼다고 합니다. <br> <br>백승연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서울 서초구 동물복지 지원센터. <br> <br>2살 포메라니안 토리는 '반려견 돌봄 쉼터'에서 두 번째 연휴를 맞습니다. <br> <br>견주 배현자 씨는 토리를 고향에 데려갈 수 없어 명절 때마다 이곳 쉼터를 찾고 있습니다. <br> <br>[배현자 / 서울 서초구] <br>"(길이) 너무 막히니까 몇 시간 동안 차 안에 있어야 하고, 다른 가족들한테 피해 주고." <br> <br>설연휴 앞뒤로 6일간 단돈 5천 원에 전문적인 관리를 받을 수 있어 인기가 좋습니다. <br> <br>[배현자 / 서울 서초구] <br>"모든 분한테 혜택이 돌아가는 게 아니니까 저는 알자마자 빨리 (신청하러) 갔어요." <br><br>[박재은 / 서울 서초구청 일자리경제과 주무관] <br>"다른 구에서 하고 싶다고 하시는데 저희가 서초구민 위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조금 어렵다고 말씀을 드리고 있어요." <br> <br>이런 반려견 돌봄 서비스는 일부 지자체만 운영하다 보니, 애견호텔로 수요가 몰릴 수밖에 없습니다. <br> <br>1박에 많게는 10만 원, 대형견일수록 비싸지만, 2~3주 전에 조기 마감된 곳도 적지 않습니다. <br> <br>[이정훈 / 애견호텔 대표(지난 18일)] <br>"예약이 평소보다 3~4배, 많게는 5배 정도 많아진다고 보시면 돼요. 지금도 저희가 예약이 다 마감돼서…" <br> <br>결국, 원치 않는 곳에 맡기거나 급하게 반려동물 돌보미를 찾는 경우도 많습니다. <br> <br>[박영목 / 경북 구미시] <br>"(연휴 직전에 하면) 연락하는 데마다 다 찼다고 하고, 진짜 거리가 먼 곳이나…원치 않는 그런 곳에 좀 맡기게 되죠." <br> <br>그래도 전문가들은 반려동물을 맡기기 전 자격 있는 위탁 업체인지, 마리당 관리 인원은 어떻게 되는지 꼼꼼히 따져볼 것을 조언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백승연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강철규 <br>영상편집: 형새봄<br /><br /><br />백승연 기자 bsy@ichannela.com